테마파크의 라이드 어트랙션 디자인

The Ride Attraction Design of Theme Park

  • 이호숭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 전문대학원)
  • 발행 : 2002.08.01

초록

본 고는 종합 엔터테인먼트로 상징되는 테마파크의 다양한 부대시설 가운데 대표적 유희시설로 주목받는 라이드 어트랙션을 중심 소재로 고찰한 것이다. 특히, 최근에 많은 인기와 주목을 받는 라이드를 선별, 물리적 운동 특성과 점차 강한 자극체험을 갈구하는 현대인들의 현상, 그리고 어뮤즈먼트 디자인의 미래 향방 등을 모색, 종합적으로 전개한 것이다. 연구동기 및 주요 내용은 점차 고조되어 가는 현대인의 여가선용에 대한 다양한 욕구와 여가활동의 필연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라이드 어트랙션으로 나타나는 놀이 방법과 라이더 즉, 사용자가 느끼는 신체적 반응 등을 논한 것이다 현재 테마파크에 있어서 라이드는 성인용 라이드(major ride)를 중심으로 점차 스릴 강도를 높이는 추세로 진행되고 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탑승놀이기구들은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율, 즉 가속도의 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교통기관과는 다른 전율(thrill)을 체험하게 되는 것이다. 라이드 어트랙션을 비롯한 모든 유희시설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첨단성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내면의 소프트가 되는 테마나 발상의 빈곤은 어트랙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테마파크의 존립자체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테마파크의 어트랙션 디자인에는 테마 그 자체를 표현하는 줄거리(story), 방법(method), 환경(environment) 등의 3가지 요소가 충실하게 반영되면서 그와 함께 문화산업적인 보편성을 고려할 때 엔터테인먼트의 종합 결정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공원 측은 어트랙션 기획 및 운영에 있어서도 호스피탈리티 산업(hospitality industry)이라는 기본 개념에 충실할 때, 고객만족 관리가 재방문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e amusement design of a large amusement park, including theme park, largely consists of attraction design, the main facil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physical mo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ride, a recently highlighted representative ride attraction, modern people's thirst for stronger stimuli, and some of the right future directions for amusement design. In theme park, there is an growing trend for rides, especially major rides, to be more thrilling, and Newton's Law motion is basically applied. The rides we can often see provides a thrilling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fered by vehicles we use everyday, due to a variety of speed change, namely of acceleration. Every entertainment facilities, including ride attractions, are externally cutting edge with the use of new technology. but internally, poor theme or concept not only makes it difficult to function properly as attraction but poses a severe threat to theme park survival itself. Theme park will be able to exist as a comprehensive entertainment entity, when attractions are designed to have a perfect harmony among story, method and environment with cultural universa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