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완효성비료 효과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Growth and Yield in Rige Direct Dry Seeding for Water-saving Rice Culture

  • 최원영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 최민규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 김상수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 이재길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 이문희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발행 : 2002.06.01

초록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매시 완효성비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표준시비(N-160kg/ha) 대비 완효성비료(LCU: 18-12-13%)를 기비로 100%와 80% 시용구 및 기비로 60% 시용하고 속효성비료인 요소로 분얼비 또는 수비로 20%씩 각각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LCU 100%에서 가장 컸고, LCU 시비량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2.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LCU 100%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시비효율은 LCU 60% + 수비(요소) 2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처리간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m^2$당 수수와 $m^2$당 립수는 LCU 100%에서 가장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는데, 쌀 수량은 관행인 속효성 시비구 대비 LCU 100%에서 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담직파재배에서 관개수 부족시 절수재배가 필요하여 이때에 완효성비료로 시비할 경우 표준시비량(N-160kg/ha) 수준으로 시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low release fertilizer (LCU) o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ying cultural system. During 1999-2000,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arried out at field (Chonbuk series)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using Dongjinbyeo.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during the total growth duration were the longest and panicle umber per $m^2$ was the highest in 100% LCU application rate. Leaf area index and top dry weight were the highest in the 100% LCU application rate. They increased as more LCU was applied. Nitrogen uptake was the highest in 100% LCU application, and N use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LCU 60% + FP (fertilization at panicle formation stage) 20% application. Milled rice yield was 7% higher in 100% LCU application rate than that of conventional N application. Ripened grain rate and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did not differ, but panicle number per $m^2$ and grain number per m2 were the highest at 100% LCU appl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허일봉, 최종수, 한기학. 1978. 복합비료의 질소윈으로서 유황입힌 요소의 효과.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농화학과). pp. 9-29
  2. 김순철, 황동용, 박성태, 전병태, 이수관. 1992. 남부지역 벼 건답직파 파종량 구명. 농시논문집(수도편) 34(1) : 39-48
  3. 김석천, 임동규, 최두회. 1995. 벼 직파재배용 완효성 피복요소 효과 시험 .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식물영양과). pp. 402-406
  4. 권항광, 박훈, 박영선. 1973. IR 667의 수량 및 질소흡수에 미치는 완효성 비종별 효과. 한토비지 6(4) : 213-219
  5. 권혜영, 박기도, 박창영, 박경배. 1996. 벼 건답직파에서 완효성 복합비료의 접촉시비효과 구명 시험. 영남농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수도, 식환). pp. 674-678
  6. 이기상. 1996. 완효성질소비료의 벼 재배양식별 시퐁효과와 질소의 행동 연구. 경상대 박사학위 논문. 76p
  7. 이석순,홍순범, 백준호. 1992.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의 질소분시비율. 한국작물학회지 37(5) : 405-412
  8. 농촌진흥청. 1995a. 쌀 생산비 절감을 위한 '95 벼 직파재배 기술지도 지침. 농촌진흥청 . 90p
  9. 농촌진흥청. 1995b. 農事試驗硏究 調査基準. 農村振興廳. 603p
  10.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업기술연구소. 450p
  11. 二枝正彦, 古田光治. 1997. 作物の生育特性と肥效調節型肥料の活用(形狀と奬來) 環境負荷輕減省力多收栽培への道. 日本上核肥料學會シンポジウ報告. 日土肥誌 68(2) : 209-214
  12. 高屋武彦, 官坂昭. 1983. 乾査直播水稻における倒伏防止に關する硏究. 第2報 出穗後における稻體諸形質の推移と倒伏低抗性との關 係. 日作紀 52(1):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