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s of Family of Origin Factors on the Romantic Relationship through Anxiety Among the Unmarried Men of Early Adulthood in Korea

한국 성인초기 미혼남성의 원가족 요인이 불안을 매개로 낭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전영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가족학부 가족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ady date and the influences of family of origin factors and anxiety on the romantic relationship among the unmarried men of early adulthood. Ninety men dating for more than 2 months responded the questionnaire regarding differentiation of family of origin, parents' marital intimacy, trait anxiety, couple intimacy, couple individuation, and the demographic questions. Using SPSS Win 10.0, ANOVA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found that: 1)‘methods of introduction’ ‘frequency of dating per week’ and ‘military du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uple intimacy; 2) the men's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couple intimac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couple individuation; 3) differentiation of family of origin affected men's anxiety which in turn affected the couple intimacy. In couclusion, summary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신, 김오남, 윤상희(1997). 미혼남녀의 사랑과 성에 대한 태도 및 배우자 선택. 대한가정학회지, 35(3), 15-29
  2. 김순기, 이영주(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43-64
  3. 김현정, 김명자(1999). 근원가족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 청주시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4. 남순현(2000).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성인자녀 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박민자(2000). 한국대학생들의 데이트 과정에 나타난 남녀의 차이. 가족과 문화, 12(1), 53-66
  6. 박찬미, 서병숙(1987).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
  7. 정옥분(2000). 성인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8. 유은희, 박성연(1989). 모자간의 애착 및 모의 결혼 관계에 따른 아들부부의 결혼만족도: 인과적 모형. 대한가정학회지, 27(2), 149-162
  9. 윤경자(1996). 데이트관계에서 헌신의 역할. 대한가정학회지, 34(4), 393-402
  10. 이기숙 외(2001). 결혼의 기술. 서울: 신정
  11. 이현주, 김순옥(1997). 부부의 자아분화 정도와 갈등 대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89-114
  12. 전영주(1998). 삼세대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과 성인자녀의 우울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22-45
  13. 정문자, 김연희(2000). 가족생활주기별 내담자의 문제와 가족치료기법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8(1), 3-29
  14. 최연실(1999). 사랑에서의 사회적 성과 자기개발에 대한 연구: 미혼 및 기혼 남녀의 면접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55-74
  15. 최지희(1984). 결혼전후환경이 부부관계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최현미, 곽민정. (1998). 대학생의 원가족 인식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논문집, 11(1), 89-100
  17. 함인희(2001). 배우자선택 양식의 변화: 친밀성의 혁명? 가족과 문화. 13(2), 3-28
  18. Chun, Y. J. & McDermid, S. (1997). Perceptions of family differentiation, individuation, and selfesteem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451-462 https://doi.org/10.2307/353482
  19. Dadds, M. R. & Roth, H. H. (2001). Family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problems. Th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of anxiety. NY: Oxford Univ, Press, Inc
  20. Hovestadt, J. A., Anderson, T. W., Piercy, P. F., Cochran, W. s. & Fine, M. (1985). A family of 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1(3), 287-297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5.tb00621.x
  21.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Y: W.W. Norton & Company
  22. Rossi, A. S. & Rossi, P. H. (1990). Of human bonding. NY: Aldinede Cruy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