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둥굴레 유전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국산 둥굴레속 식물 수집종 10종 20계통을 재배 한 후 특성을 조사하고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으며 군별 특성 및 류연 관계를 구명하였다. 14개 형질을 가지고 평균연결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결과 군집간 평균 거리 약 0.6에서 7개 군으로 분할되었다. 제 1군은 층층갈고리 둥굴레군이고, 제 II 군에는 둥굴레, 둥굴레 엽색 변이종 및 큰둥굴레가 속하였으며, 제 III 군은 산둥굴레군이고, 제 IV군은 죽대군이었다. 그리고 제 V 군은 용둥굴레와 안면용둥굴레가 속하였고, 제 Ⅵ군은 퉁둥굴레군이며, 제 Ⅶ군은 각시둥굴레가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였다. 제 I군은 다른 군에 비하여 지상부와 근경이 모두 거대하였고, 제 II~III군은 둘 다 중간 정도이며, 제 IV~Ⅶ군은 지상부와 지하부가 모두 작았다. 둥굴레속 식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특히 경장, 줄기습성, 엽서, 능각, 엽병, 화서, 화피의 형태, 포 및 근경의 크기 등이 중요한 식별 형질이었다. 제 I~III군은 식용 및 양용작물로 이용하기 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제 IV~Ⅶ군은 원예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tterns of 20 Polygonatum collections indigenous to Korea were examined and the collections were classifi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practical use of Polygonatum genetic resource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i 20 collections were distinctly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with average distance greater than 0.6 between groups. Group I was p. sibiricum Delar, and group II included p. odoratum var. pluriforum Ohwi, P. odoratum var. pturiforum Ohwi 'Variegata' and P. odoratum var. maximowiczii Koidz.. Group III was P. odoratum var. thunbergii Hara, group IV included P. lasianthum var. coreanum Nakai, and group V was P. involucratum Maxim. and P. desoulavyi Komarov. group Ⅵ was P. inflatum Komarov and group Ⅶ was P. humile Fischer ex. Maxim. Morphologically, group I was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group II and III were medium, and group IV to Ⅶ were small. In the classification of genus Polyognatum, stem length, stem habit, phyllotaxis, stem angularity, petiole, inflorescence, perianth, bract and rhizome were particularly important characters. Group I to III were thought to be useful as the edible and medicinal resources plants, and group IV to Ⅶ were thought to be useful as ornamental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