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산 및 외국산 홍삼의 사포닌 및 무기물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Saponin and Mineral Component in Korean Red Ginseng and Other Red Ginseng

  • Lee, Jong-Won (Korea Tobacco & Ginse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Lee, Seong-Kye (Korea Tobacco & Ginse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Do, Jae-Ho (Korea Tobacco & Ginse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2.12.01

초록

본 연구는 각국 홍삼의 성분비교 연구로서 한국홍삼(찬삼, 지삼, 양삼), 북한홍삼(천삼, 지삼, 양삼), 중국석주홍삼(1등, 2등, 3등), 중국길림홍삼(1등, 2등, 3등), 일본운주홍삼(1등, 2등, 3등) 및 일본신주홍삼(1등, 2등, 3등) 등을 대상으로 사포닌 및 무기물 함량에 대해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포닌 함량은 한국홍삼의 경우 3.05~3.76%, 북한홍삼은 2.09~3.21% 중국석주홍삼은 2.82~3.71%, 중국길림홍삼은 2.72~3.62%, 일본주홍삼은 2.11~2.44% 그리고 일본신주홍삼은 2.18~2.87%로 전반적으로 한국홍삼이 높게 나타났다. Ginsenoside중에 Rb1, Bb2, Rc, Rd, Re, Rg$_{1}$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한국홍삼의 경우 약 1.43%로 북한홍삼 1.14%, 중국석주 1.13%, 중국길림 1.07%, 일본운주 0.95%, 일본신주 1.10% 보다 한국홍삼이 약 0.52~0.33%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ginsenoside 중에서 Rb$_{1}$, Re, Rg$_{1}$ 성분이 대체적으로 한국홍삼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외 성분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26종의 무기물함량을 한국홍삼과 타국홍삼과 비교 조사한 결과, 차이는 큰 원소는 As, Ce, Sb, Sm, Sr, K, La, Na 등이었으며, 특히 La성분이 한국홍삼은 0.64~0.88% ppm, 북한홍삼은 0.43~0.67 ppmdldjTdmsk 중국홍삼(석주삼, 길림삼)은 0.09~0.21 ppm 정도이고, 일본홍삼은 0.04~0.14 ppm이었다. 그리고 Na함량에 있어서 한국홍삼은 286~350 ppm인데 비해서 중국홍삼은 59~180 ppm으로 상당히 낮았으며, Sn함량도 한국홍삼은 10.00~72.65 ppm이었으나 중국홍삼은 3.75~9.71 ppm이었다. Brgkafid에 있어서는 일본홍삼이 2.10~3.56 ppm으로 나타났으나 한국홍삼은 0.89~2.77 ppm, 중국홍삼은 0.42~1.04 ppm이었고 Ce함량은 일본홍삼이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ntents of saponins and minerals component in Korean Red Ginseng (Heaven, Earth, Good grade), North Korean Red Ginseng (Heaven, Earth, Good grade), Japanese Red Ginseng (Oonju, Sinju 1, 2, 3 grade, respectively) and Chinese Red Ginseng (Seokju, Gilim, 1, 2, 3 grade, respectively). Crude saponin contents were different on according to the grade and cultivation area, and was 3.05-3.76% in Korean Red Ginseng, 2.09-3.21% in North Korean Red Ginseng, 2.82-3.71% in Chinese Seokju Red Ginseng, 2.72-3.62% in Chinese Gilim Red Ginseng, 2.11-2.44% in Japanese Oonju Red Ginseng, 2.18-2.87% in Japanese Sinju Red Ginseng, and the amount of ginsenoside-Rb1, -Re, -Rg$\_$1/ in Korean Red Ginseng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t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ed Gingsen. The contents of mineral components were similar, but La, Na and Sn component in Korean Red Ginseng showed the higher amount than those of other Red Ginseng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인삼경작조합연합회 : 한국인삼사(하권), 삼화인쇄(주), (1980)
  2. 한국인삼경작조합연합회 : 한국인삼사(상권), 삼화인쇄(주), (1980)
  3. 김해중, 조규성, 남성희 : 고려인삼학회 6, 115 (1982)
  4. 김만욱, 고성룡, 최강주, 김석창, : 고려인삼학회지 11, 10 (1987)
  5. 한국인삼연초연구원 : 고려인삼, 천일인쇄사, (1994)
  6. Lee, U., Park, H. H. and Lee, J. M. : J. Korean Agr. Chem. Sci. 22, 99 (1980)
  7. Namba, T., Yoshizaki, M., Tomimori, T., Kobashi, K., Matsui, K. and Hase, J. : Yukugaku Zasshi 94, 252 (1974) https://doi.org/10.1248/yakushi1947.94.2_252
  8. Ando, T., Tanaka, O. and Shibata, S. : Soyakugaku Zashhi 25, 28 (1971)
  9. 고성룡, 최강주, 김석창, 한강완 : 고려인삼학회지 19, 254 (1995)
  10. Tani, T., Kubo, M, Katsuki, T., Hayashi, T. and Arichi, S. : J. Nat. Prod. 44, 401 (1981) https://doi.org/10.1021/np50016a002
  11. 김만욱, 이정숙, 남기열 : 고려인삼학회지 8, 8 (1984)
  12. 고성룡, 최강주, 김현경, 한강완 : 고려인삼학회지 20, 36 (1996)
  13. Mino : Shoyakugaku Zasshi 44, 276 (1990)
  14. Mino, Y., Torii, H. and Ota, N. : Chem. Pharm. Bull. 38, 1936 (1990) https://doi.org/10.1248/cpb.38.1936
  15. Mino, Y., Usami, H., Ota, N., Takeda, Y., lchihara, T. and Fujita, T. : Chem. Pharm. Bull. 38, 2204 (1990) https://doi.org/10.1248/cpb.38.2204

피인용 문헌

  1. Nutritional Composition, Ginsenoside Content and Fundermental Safety Evaluation with Leaf and Stem Extract of Panax ginseng vol.33, pp.5,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4.33.5.778
  2. The Chracterization of Critical R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Field and Nutrient Contents of Ginseng Leaves in Gyeonggi Province vol.24, pp.5, 2011, https://doi.org/10.7732/kjpr.2011.24.5.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