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초등학교 저학년의 과학관련수업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의 시사점 : 초등학교 1, 2 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f German Elementary Science-Related Classes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n Science Education: 1 st and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 김은진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발행 : 2002.12.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초등학교 1학년 전과정과 2학년 1학기까지의 사물학습과목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수업현장을 직접 관찰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들의 과학교육관련수업(사물학습)은 통합교과적인 주제를 친근하고 가까운 소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직접 경험을 중시하였고 점차로 심도있는 탐구까지 해 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갔다. 독일의 사물학습 수업을 통해서 우리의 과학교육은 보다 친밀한 소재를 통한 통합적 접근이 강조되어야하며, 학생들에게 스스로 생각하고 활동할 수 있는 시간적, 정신적 석유의 기회를 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적인 면에서도 보다 심도있는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창출해내는 능력을 길러주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가, 사회와 성인들 모두가 교육에 대한 비판적 관심이 아니라 책임 있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science related class(Object Lesson in Germany) of a Germa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methods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themes and processes of the Object Lesson are analyzed from the 1st grade to 1st semester of 2nd grade in B-G Schule at Goettingen. German Object Lesson(GOL) is performed as integrated education. It is started with experientially familiar materials and proceeded to deeper contents with special knowledges. The students have lots of time to play with friends, to do what they want, to think about others and etc. in GOL. They don't teach their students many science knowledges but inquirying methods to make their own knowledges. From this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science education are to be describ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We might make our science class be integrated one, especially in elementary science course, to develop several familiar materials, to give student direct experiences, to teach inquirying methods for making students' own science knowledges. And all of the adults included national authorities, economic companies, social parties, several specialists, should give supplies to school science class and have responsibilities on edu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