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EQUATORIAL, BUBBLES DETECTED BY SPS IMS ONBOARD THE KOMPSAT-I

KOMPSAT-1 SPS IMS에 관측된 적도 이온층 밀도 불균일 현상에 대한 연구

  • 박재흥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
  • 이재진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
  • 이은상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
  • 민경욱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Space Physics Sensor onboard the KOMPSAT-1, which was launched at 1999, had transmitted ionospheric data during the solar maximum from June 2000 to August 2001. When the KOMPSAT-1 has passed the equatorial region, equatorial bubbles, in which the electron density abruptly decreases, had frequently been detect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entire operational period shows equatorial bubbles frequently occur across the Atlantic region where the geomagnetic field strength is weak. Also, equatorial bubbles occur more frequently for lower Kp index. Th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vious observations by DMSP satellites and radio experiments at the Peruvian sector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on density and the electron temperature shows various behaviors from event to event.

다목적 실용 위성 1호는 1999년에 발사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 과학 탑재체로 우주과학센서(Space Physics Sensor)를 탑재하고 있다. 이중 SPS IMS는 2000년 6월부터 2001년 8월에 이르는 태양 활동 극대기 동안 지구 이온층에 관한 정보를 지상으로 전송하였다. 다목적 실용위성 1호가 적도지 역을 통과할 때 전자 밀도가 급격 히 감소하는 플라즈마 밀도 불균일 현상(equatorial bubble)이 자주 관측되었다. SPS IMS가 운용된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 한 결과, equatorial bubble 현상은 지구 자기장의 크기가 약한 대서양 지역에서 자주 일어났고, 또한 Kp 간이 낮을 때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기존의 DMSP위성을 통한 관측 결과 및 페루 지역의 라디오 관측 결과 등과 상당한 수준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밀도 불균일 지역 내의 전자 온도 변화는 전자 밀도 변화와 다양한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Space Sci. Rev. v.63 Aarons,J. https://doi.org/10.1007/BF00750769
  2. GRL v.9 Brace,L.H.;Theis,R.F.;Hoegy,W.R. https://doi.org/10.1029/GL009i009p00989
  3. JASTP v.64 Devasia,C.V.;Jyoti,N.;Subbarao,K.S.V.;Viswanathan,K.S.;Tiwari,D.;Sridharan,R.
  4. JGR v.106 Huang,C.Y.;Burke,W.J.;Machuzak,J.S.;Gentile,L.C.;Sultan,P.J. https://doi.org/10.1029/2000JA000319
  5. JGR v.86 Kelley,M.C.;Larsen,M.F.;LaHoz,C.;McClure,J.P. https://doi.org/10.1029/JA086iA11p09087
  6. JGR v.103 Kil,H.;Heelis,R.A. https://doi.org/10.1029/97JA03344
  7. Space Res. v.18 Kutiev,I.;Dachev,T.;Serafimov,K.
  8. Ph.D. Thesis, KAIST Lee,J.
  9. JGR v.106 Mendillo,M.;Meriwether,J.;Biondi,M. https://doi.org/10.1029/2000JA000148
  10. JGR v.83 Ott,E. https://doi.org/10.1029/JA083iA05p02066
  11. Planet. Space Sci. v.36 Oyama,K.I.;Schlegel,K.;Watanabe,S https://doi.org/10.1016/0032-0633(88)90025-6
  12. JGR v.90 Tsunoda,R.T. https://doi.org/10.1029/JA090iA01p00447
  13. JGR v.107 Whalen,J. https://doi.org/10.1029/2001JA90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