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We measured air temperature in a vegetated area to investigate if stand types and height affect air temperature. With the measured dat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 temperature vs. ground cover type, vegetated area, stand structure, stand density, and tree volume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ved area and open field have higher air temperatures than the vegetated area and water-related areas. Among the stand types, the stand with overstory and sub-overstory showed relatively low are temperature. The stand with overstory had lower air temperature than the stand with sub-overstory. Increasing stand density was effective for lowering air temperature.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식재의 계층구조가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녹지 내의 기온을 관측하였다. 그 테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현황과 기온분포, 식재지율(식재의 면적비율)과 기온, 식재의 계층구조비율과 기온, 수목그루 및 녹적량(수목의 체적)과 기온 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고온역은 인공구조물과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식재지와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식재의 계층구조가 2, 3층으로 덮여있는 구역과 수면을 핵으로 그 주변이 식재로 둘러싸인 구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을 나타냈다. 수목그루 및 녹적량의 증가는 어떤 수고라도 기온저감에 효과적이고 그 효율은 교목, 소교목, 관목의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