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프로브차량대수 모형 개발

A Model Development of Prove Cars for Travel Time Data Collection

  • 발행 : 2002.08.01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링크통행시간 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규명하고. 최적의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자가용승용차, 택시, 버스, 택배차량 등 여러 종류의 차량들이 프로브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정확도 이상의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프로브차량이 필요한지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적정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는 링크통행시간 자료수집 기술 수집대상 링크의 공간적 범위, 프로브차량의 종류 및 운행 특성, 자료수집 시스템의 신뢰도, 수집되는 자료의 정확도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결정하는 링크당 평균 통행시간 자료수, 프로브차량 밀도의 최소 확률, 그리고 자료 미수집링크의 허용비율의 3가지 결정기준이 정의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정기준에 대해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산출하는 모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주기당, 링크당 평균 필요 통행시간 자료수$(d_R)$, 단위길이당 프로브차량의 대수 또는 밀도$(n_{min} or {\alpha})$, 일정 프로브차량밀도 이상의 확률($\beta$), 그리고 자료 미수집링크의 비율($\gamma$)이 클수록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는 증가한다. 민간 교통정보회사의 통행시간 수집시스템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산정하는 사례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여러가지 조건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가 산출되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ITS연구·개발보고서 실시간 고속도로 소통상황 파악을 위한 적정 Probe 차량대수 추정기법에 관한 연구 박철규
  2. A Design of Traffic Information System for SK ltd. 고승영
  3. Proceedings, 9-th World Conference on Transport Research Optimal Number of Probe cars for Beacon-based Travel Time DATA Collection System Seung Young Kho
  4. Transportation Research C v.6 no.1/2 Travel Time Studies with Global Position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An Integrated Methodology Quiroga,C.A.;Bullock,D.
  5. FHWA-PL-98-035 Travel Time Data Collection Handbook Turner,T.;Eisele,W.;Benz,R.;Holdene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