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conomic Interdependency between Regions using the Canonical Correlation (for the working trip in Seoul metropolitan area)

정준상관분석기법을 이용한 지역간 경제적 의존성 분석 (수도권 출근목적통행량을 기준으로)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변미정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교통연구부) ;
  • 김태균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차경준 (한양대학교 수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고도의 산업화성장에 따라 도시의 기능이 지역간의 완전분리가 아닌 경제적 사회적 상호 연관성이 점점 증가하고 그 내용도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지역단위별로 취업자수에 대한 고용자수 비율 또는 출근통행의 유출량에 대한 유입량 비율 등의 단순지표를 이용한 지역간의 경제적 의존성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간의 경제적 연관관계 즉 경제적 의존성을 복합적이고 표준화 할 수 있는 계량치로 추정하기 위해 두 변수 집합간의 연관성을 추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기법인 정준상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수도권 72개존의 출근통행자료을 이용하여 지역간의 경제적 의존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존들로 구성된 지역간의 정준상관계수 및 각 존들의 정준가 중계수를 통해 통계적으로 정산되어진 표준화된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대존의 경우 경기도와 인천시는 각각 0.9753. 0.2968 정도의 서울에 대한 경제적 의존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에 대한 경기도의 경제적 의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출된 정준가중계수를 살펴보면 분당구와 서울시의 중구는 서울에 대한 경기도의 경제적 의존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중존에 해당되는 인천의 3개 권역, 경기의 16개 권역의 서울 5개 권역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도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다변량 통계자료 분석 김기영;전명식
  2.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도권 신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안산 · 과천을 중심으로 문희구
  3. 사회과학과 마케팅을 위한 다변량 행동조사 여운승
  4. 경기도 통행특성에 관한 연구 지우석(등)
  5. 국토계획 v.27 no.1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하성규;김재익
  6. Spatial Cycles Van den Berg, Leo;L.S.Burns;L.H.Klaas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