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 세리신을 이용한 폴리에스텔의 기능성 향상

The Functional Effects of Polyester treated with silk sericin

  • 김종호 (상주대학교 섬유공학과) ;
  • 김영대 (농업과학기술원 잠사곤충부) ;
  • 강경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우순옥 (농업과학기술원 잠사곤충부) ;
  • 남중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발행 : 2002.03.01

초록

실용성은 우수하나 위생성과 고급성이 매우 떨어지는 PET직물을 세리신을 이용하여 표면 개질함으로서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Glutaraldehyde를 사용하여 세리신을 PET 직물에 가교시킬 경우 약 0.22%의 부착율을 보였으며, GA 수용액의 pH는 산으로 갈수록 좋고 세리신 수용액의 pH는 등전점에서 멀어질수록 반응이 쉽고 균일하게 일어났다. PDC 방법으로 세리신을 PET 직물의 부착시킬 경우 0.6%의 부착율을 보였는데 이는 가교제에 의한 경우보다 많이 부착이 되지만 직물에 균일하게 부착되지 않았다. 가교제 또는 PDC 방법을 통하여 PET 직물의 표면을 세리신으로 처리해도 수분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즉 감량가공처리만으로도 흡수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세리신을 처리하더라도 흡수율은 향상되지 않았으나 마찰대전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The attaching treatment of sericin onto polyester fiber was attempted to improve its sanitary properties. Generally, sericin, a gummy material covering the outer layer of silk filament, is subjected to be removed during degumming process of silk textile process. For this study, sericin particle dissolved within the degumming waste water could be collected by sedimentation of polyaluminium chloride. It was revealed that sericin particle were attached onto the surface of polyester fiber evenly by treatment of glutaraldehyde, a crosslinking agent. A frictional static charge of the treated polyester fabric could be improved, while its hygroscopic property was little changed.

키워드

참고문헌

  1. 한잠학지 v.41 no.3 실크 세리신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쾌적가공 한대만;배도규
  2. J. Seric. Sci. Jpn v.68 no.1 modification of polyester fabrics with silk sericin fixed with resin finishing H Kato;K Yasuta
  3. 한잠회지 v.43 no.1 정련폐액에서 실크세리신의 회수방법 및 회수 세리신의 특성 김영대;권해용;우순옥
  4. 한잠회지 v.43 no.1 폐견사류의 미세분말화 및 표면가공제 적용 이용우;이광길;여주흥;김종호
  5. 田畑 孝·竹內 茂·片桐 郎弘(1995)絹フィブロイン加工方法. 日 公開特許公報 特開平 7-300772
  6. 日 公開竹許公報 持開平 7-300772 絹フィプロイン加工方法 田畑孝;竹內茂;片桐郞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