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半島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稔性 및 재배학적 특성

The Fertility and Som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농업과학기술원 잠사곤충부)
  • 발행 : 2002.03.01

초록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의 임성과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종자형성률은 46∼80%이며 종자의 발아율은 19∼28%에 불과하다 2. 개화최성기(1994년)는 4월 28일∼5월 3일로서 산뽕나무보다는 늦고 개량뽕보다 빠르다 3. 춘기 동아의 탈포기는 4월 21일∼24일로서 산뽕나무와 개량뽕보다 늦다. 4. 잎은 대형으로 엽형지수 1.05의 폭광성을 나타내며 잎두께는 산뽕나무보다 두껍다. 5.성숙엽의 화학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이 많고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가 적다. 6. 낮추베기때의 자세는 대부분 전개성이며 가지는 조장형이고 절간장이 길다 7. 추위견딜성과 뽕나무 동고병에 약하다.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of Morus tiliaefolia growing wild in Korean peninsula a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seed formation is 46∼80% and that of germination is 19∼28%. The height period of making flower is April 4-May 3, it means that is later than Morus bombycis, faster than Kaeryangppong. Green tip sprouting stage in spring is April 21∼24. This is later than Morus bombycis and faster than Kaeryangppong. The leaf has very big width and the ratio of leaf length to leaf width is 1.05. The thickness of leaf is thicker than Morous bombycis. There are a lot of matter of soluble nitrogen free, crude ash, and are littl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fiber in chemical contents of maturation leaf. The attitude of low cutting is spread out type and the branch is long type. The internord length is long. It is weak against cold and die-back.

키워드

참고문헌

  1. Taxonomical studies on the Morus plant and their distribution in japan and its vicinities Hotta;Teikichi
  2. 韓蠶學誌 v.39 no.2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뽕나무 3種이 자연교잡된 때의 稔性과 오디의 과실적 특성 박광준;이용기
  3. 朝鮮森林植物圖說 Moraceae(桑) 河本台鉉
  4. 朝鮮森林植物編 v.8 けぐは 中井猛之進
  5. 桑種苗特性分類調査報告書 農林水産技術情報協會
  6. 農事試驗硏究調査基準 農村振興廳
  7. 信州大學 纖維學部紀要, セリズ養蠶學 no.20;3 毛桑(Morus tiliaefolia Makino)及びその種間雜種に關する細胞學的硏究 關博夫
  8. 蠶絲科學と技術 v.29 no.5 桑病蟲防除 高橋幸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