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sified Fuels from Poplars

포플러로부터 고밀화연료의 제조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Recently, densified fuels from biomass are widely used North America and Europe as a regenerable and clean bioenergy. Compaction of sawdust of poplars(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Populus davidiana) with starch glue for densified fuel were studied. Calorific and elemental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se species as fuel. Hot-press process was used and compaction was performed under temperatures from 120 to $160^{\circ}C$ and at pressure of 50kgf/$cm^2$ for prescribed time. Densified fuels were evaluated by its specific gravities, compressive strengths and fines. In the case of with-glue system, when the press temperature is $160^{\circ}C$ and press time is above 7.5 minutes, densified fuels with fines less than 5% can be produc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without-glue system, densified fuels with fines less than 5% can be produced by controlling the press condition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sawdust.

최근 들어, 북미와 유럽에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한 고밀화연료가 재생가능하며 청정한 바이오에너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밀화연료를 얻기 위한 현사시(Populus tomentiglandulosa)와 수원포플러(Populus davidiana) 톱밥의 압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들 수종의 연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량 및 원소분석을 하였다. 고밀화를 위해 전분접착제를 첨가한 열압공정을 채택하였으며, 압밀화는 120-l60℃에서 50kgf/㎠ 압력으로 소정시간(정확한 시간?) 시행하였다. 고밀화연료의 특성은 비중, 압축강도 및 미세분 발생량으로 평가하였다. 유접착제 공정에서는 160℃에서 7.5분 이상의 열압에 의해 미세분 발생량이 5% 미만인 고밀화연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열압조건과 톱밥의 함수율을 조절함으로써, 무접착제 조건에서도 미세분 발생량이 5% 미만의 고밀화연료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