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input data for developing virtual fitting model at internet apparel shopping sites and comparison of the results

인터넷 의류 판매 사이트의 가상피팅모델 구축을 위한 입력정보 종류와 결과 비교

  • 천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최현영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A web based virtual try-on provides customers a more enjoyable shopping experience that visualize clothes on personal mannequin. The researchers compared virtual fitting models which were developed in 2000 at Korea and in 2000 and 2002 at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The information about user's body size was required to input for selection of a virtual fitting model. 7 to 19 different body size, shape, and face features including weight and height were needed for visualizing virtual fitting model. The body type of the U.S virtual fitting model(My virtual model) was selected by front view silhouette for women, and by shoulder width and midriff silhouette for men. The more detailed information was required for developing Korean virtual fitting model. The additional body size information required in the site were leg and arm lengths, waist length, and thigh and ankle circumferences. The body proportion of Korean cyber personal mannequin was longer and narrower than the U.S cyber personal mannequin. It was recommended that standardized body length, width, and depth proportions calculated from national anthropometric data must be applied for developing Korean virtual fitting model. With application of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face feature and advanced graphic image technology the 'My virtual model in 2002 resembled the human body shape of various race.

개인별 신체 특성을 나타내는 가상피팅모델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가상 착용 서비스는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의류 쇼핑의 흥미를 더해준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2000년과 2002년에 개발된 미국의 가상피팅모델과 국내에서 개발되었던 가상피팅모델의 개발 기술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상피팅모델의 구축을 위해서는 인체의 치수, 형태, 얼굴의 특징들에 관한 정보 입력이 필요하며, 이때 요구되는 정보는 미국과 한국의 사이트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미국의 사이트는 정면이나 측면의 실루엣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반면 한국의 사이트는 더 많은 인체 치수 관련 정보를 요구하였다. 2000년에 개발되었던 한국의 가상피팅모델은 길고 좁은 프로포션으로 표현되어 사실적인 표현이 부족하였던 반면 2002년 미국에서 개발한 가상피팅모델은 다양한 인종의 특성을 반영하며,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사실적으로 표현된 가상피팅모델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