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Dongrae Ciy-wall in Busan

  • 발행 : 2002.12.01

초록

본 연구는 동래 읍성의 입지, 성곽 형태 및 도로망. 관아 및 가옥분포 토지이용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경관 복원을 시도한 후.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변화를 파악하여 이를 사회ㆍ문화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야시대부터 취락이 형성되었던 현재의 장소에 고려말 읍성이 이전 입지한 것은 해안방어 요충지와의 접근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읍성이 위치한 장소는 동래부의 중심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입지 특성은 4대문 위치 및 성안의 도로망 분포 등에 영향을 주었다. 관아시설의 배치는 중앙 권력의 상징. 읍성 군사 방어 기능과 관련되어 배치되었다. 객사 입지는 중심공간에 지형을 이용하여 권력 질서의 위계를 반영하였으며. 좌측에 동헌. 우측에 향청 및 군사 기능이 배치되었다. 읍성내 취락은 남문을 중심으로 분포하였고. 산록부는 농경지로 이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중 1920년대 시행된 시구개정사업으로 성벽이 철거되었고, 성안에 격자상의 도로망이 신설되었다. 평지에 있던 성벽 자리는 도로용지나 주택지로 이용되었다. 객사와 동헌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성안의 공간구조가 변화되었고. 관아건물은 공공기관으로 사용되거나, 민간인에게 불하되어 다른 용도로 이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읍성이 위치하였던 장소의 상징적 의미는 쇠퇴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읍성은 부산시민에게 역사적인 중심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일부 경관을 중심으로 복원작업이 시도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읍성이 단순히 건축물이 아닌 당시대의 사회문화가 투영된 경관이며, 각지방에 소재한 읍성은 새로운 시각으로서 재조명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Dongrae-bu, the administrative central area in Busan in Chosun-dynasty(1392-1910), performed the large parts of diplomatic and trading functions with Japan because of its geographical conditions. Because of his location, landscape of Dongrae city-wall is the mirror of political and military meaning in Chosun-dynasty period. Elements of landscape, such as site of city-wall, location and morphology of gates, government official buildings and the road systems can be interpreted by the functional and socio-cultural terms. The changes of landscap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show that destruction of city-walt went on for the purpose of imperialism. Especially, the landscape which had political meaning in Chosun-dynasty had erased in terms of modem urban planning. Cates of city-wall, official guest house, fortress which symbolize the governing and political power of Chosun-dynasty were destructed almost perfectively. New road system was imported Urban planning was effective instrument through which city-wall could be destroyed for the Japanese colonialism. Under those processes, traditional structure was changed towards the dependency on Japan. Those relict landscape are remained in present urban landscape such as road system, cul-de sac, house and cornerstones. Tho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ity-wall in Korea should be studied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s in each periods.

키워드

참고문헌

  1. 지리학논총 v.4 대도시 정기시장 기능연구 -부산시내 정기시를 중심으로- 김기혁
  2. 항도부산 v.18 부산지역의 고지도연구 김기혁
  3. 대한지리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요약집 경상도읍치의 역사적 경관조사 연구 김덕현
  4. 국토계획 v.24 no.2 지방도시의 전통공간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김선범
  5. 항도부산 v.13 조선시대 동래부의 관아건축에 관한 연구 김순일;조형래
  6. 항도부산 v.10 17 · 18세기 부산의 문화 김승찬
  7. 지리학보고 조선시대 읍취락의 발달요인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김영주
  8. 부산의 고적과 지명 김의환
  9.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의 도시성장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김종원
  10. 국토계획 v.17 no.1 한국 성곽도시의 발전과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김형만;김철수
  11.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선시대 성문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맹홍규
  12. 부산지리 v.4;5 조선후기 동래부의 역사지리 연구 박민정
  13.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선시대 읍성의 입지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 백인길
  14. 경상좌수영성지학술조사 보고서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5. 부산의 역사 부산시
  16. 부산시사 v.1;2;3;4 부산시편찬위원회
  17. 부산시사 v.1;2;3;4;5 부산직할시
  18. 부산의 문화재 부산직할시
  19. 한국 성곽의 연구 손영식
  20. 조선시대의 도시사회연구 손정목
  21.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손정목
  22. 한국의 옛지도(자료편) 한국의 옛지도 양보경
  23. 해동지도 v.3 군현지도의 발달과 「해동지도」 양보경
  24. 국토계획 v.29 no.3 지방도시의 전통공간 보존에 관한 연구 예명해;최창길
  25. 지리학 v.26 마산시 경관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옥한석
  26. 한국문화연구 v.2 18세기초 동래부의 축성역과 부역노동 윤용출
  27. 한국건축사 윤장섭
  28. 한국의 옛지도(자료편) 지지 및 지도의 표현요소와 환경인식 이경미
  29.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선중기 읍성에 관한 연구 이상구
  30. 항도부산 v.2 동래부 및 왜관의 행정소고 이완영
  31. 공주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보령지역 성곽에 대한 연구 이재옥
  32. 관동대학 논문집 v.8 신라 당항성의 역사지리적 고찰 이준선
  33. 건축과학기술 v.2 일제하 대구 읍성의 철거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이호열
  34. 건축과학기술 v.2 조선시대 대구 읍성의 축성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이호열
  35. 성곽발달과 도시계획연구 장명수
  36. 한국 평론 부산의 풍수 장영훈
  37. 대학발전연구논문집 v.20 송상현 공 종가소장 東萊府殉節圖 연구 정길자
  38. 응용지리 v.22 조선기 성읍의 입지체계와 장소성 최기엽
  39. 지리학 v.32 도성계회과 우주적 상징주의 형기주
  40. 지리학논총 v.12 都城計劃 綜考 형기주
  41. 도시계획 v.20 no.1 도시 형태에 대한 문화경관적 해석 황희연
  42. A Contemporary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ism;사적유물론의 현대적 비판 Giddens;Anthony;최병두(역)
  43. The History of the City;역사속의 도시 Mumford;Lewis;김기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