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ulation on the Water Quality for the Natural Mineral Water

국내 먹는샘물의 특정 수질 항목에 대한 고찰

  •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
  • 이병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
  • 이인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Contents of the specific components in the natural mineral water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well depth and geology. According to water quality data during the last five years(1998~2002), the nitrate and fluoride concentrations, and pH averaged 0.89~ 1.09 mg/L, 0.37~0.45 mg/L, and 7.30~7.59,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the similar range to those of generalized groundwater having same well depths, implying that shallow groundwaters flow into the production wells. In general, no clear relationships between the water quality, well depth, and geology were found. The average arsenic concentration of the natural mineral water increased from 0.0024 mg/L in 1999 to 0.0066 mg/L in 2002. The percentage of production well with arsenic level higher than 0.001 mg/L also increased from 20.1% in 1999 to 64.9% in 2002. In 2002, 11 out of 57 production wells exceed 0.001 mg/L which will be announced as a new arsenic standard for drinking water by USEPA.

국내 먹는샘물의 수질기준치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수질 항목에 대해 취수정의 심도와 지질을 연관시켜 고찰하였다. 5년 간(1998~2002)의 수질분석 결과에 의한 질산성질소의 평균 함량 범위는 0.8~1.09 mg/L, 불소의 평균 함량은 0.37~0.45 mg/h, 수소이온농도의 평균은 7.30~7.59이다. 이는 비슷한 도의 일반 지하수와 유사한 값을 보여서 천부 지하수의 유입 가능성을 지시한다. 전반적으로 이들 수질항목과 취수정의 심도, 지질과는 뚜렷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먹는샘물의 평균 비소함량은 1999년의 0.0024 mg/L에서 2002년의 0.0066 mg/L으로, 비소 함량이 0.001 mg/L 이상인 먹는샘물 제조 업체의 비율도 1999년에 20.1%에서 2002년에 64.9%로 증가하고 있다. 2002년 현재, 향후 USEPA의 음용수 중 비소함량 기준으로 예상되는 0.01 mg/L을 초과하는 먹는샘물 제조업체 수는 57개소 중 11개소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단양 남조지구 온천공조사보고서 배두종;이종민;송교영
  2. 먹는샘물관리시스템구축연구(Ⅲ), KIGAM Report 성익환;조병욱;이병대;김통권;이봉주;최성자;윤욱;지세정;임현철;최병인;김상연;추창오;김정숙
  3. 지하수환경 v.4 국내화강암질내 심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이종운;전효택;전용원
  4. 지하수환경 v.4 대수층 지질 및 온조에 따른 국내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징-화강암질내 지하수와의 비교 이종운;전효택; 전용원
  5. 대한지하수환경학회 · 한국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Eval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portable groundwater in Korea 조병욱;성익환;추창오;이병대;김통권;이인호
  6. 의학환경 지구화학 최석원;김억수
  7. J. Hydrogeology v.5 Arsenic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at Zimapan, Mexico Armienta M.A.;Rodriguez R.;Aguayo A.;Ceniceros N.;Villasenor G.;Cruz O. https://doi.org/10.1007/s100400050111
  8. J. Groundwater v.36 Predict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yield from multiple borehole in crystalline bedrock Banks, D.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8.tb01092.x
  9. Practical guide for groundwater sampling, EPA v.94 Barcelona M.J.;Gibb J.P.;Helfrich J.A.;Garske E.E.
  10. Drinking water standard for arsenic, EPA 815-F-00-015 EPA, 2001
  11. J. Hydrogeology(6, editorial) Arsenic poisoning from groundwater in Bengal-A vast, tragic, hydrogeological problem unfolds Jacobson G.
  12. J. Environment Geochemistry and Health v.113 Mobility of arsenic in groundwater in the Obusai gold-mining area of Ghana: some implication for human health Smedley, P.L.;Edmunds W.M.;Pelig-BA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