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Plastic Arts Expression in College of Design on the Students Preeducation

디자인계열 대학입학생의 실기능력 유무에 따른 조형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 이헌국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 ;
  • 윤민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the plastic arts education, first by examining a variety of cases in the admission policy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students' preeducation; and second, by analyzing the work process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e flexible admission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select both groups of students: students with preeducation and students without preeducation. It is requested that the uniform selectional standard adopted by most universities should be changed into the diverse standards that can evaluate different educational back ground of students.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university professors to prepare for the new educational foundation and direction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eaching.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the design education to provide the effective teaching of plastic arts and there by develop the better methods of education in this area.

본 연구는 현재 초기 단계에 있는 디자인계열의 비실기 전형 학생들의 작업과 교육과정, 학생들의 작업추이들을 구체적으로 연구ㆍ분석함으로써 실기 능력 유무에 따른 입학 전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조형교육의 방향성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기 및 비실기 전형의 학생들을 동시에 하나의 교육과정에서 운영하는 과정에서 디자인계열 대학의 입시전형에서 각 대학, 학과마다 길기 및 비실기 전형을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입시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거의 모든 대학이 같은 비율로 입시전형 하는 획일화된 실기 및 비실기 전형의 문제를 개선하여 대학 자체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선발기준에 의한 대학교육 적격자를 선발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실기 능력 유무에 따른 학습의 효율성을 위한 것으로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새로운 교육지표 및 디자인 교육기반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연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기초 조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술교육에 적절한 적용과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함과 동시에 대학의 디자인 실기교육에 적용시킬 교육과정 및 방법을 모색하여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