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Introduction Process of the Bauhaus Formative Art Education in Korea

한국에 있어서의 바우하우스조형교육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1930년대 조선총독부 산하에 있어서 소학교의 교육시스템과의 관계에 관하여

  • 손영범 (코베예술 공과대학 예술공학전공) ;
  • 백금남 (성균관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the introduction process of formative art education method of Korean Bauhaus which was brought in this CQuntry through Japan. The introduction routes into Korea of Bauhaus education method by way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Germany have been disclosed since 1945, including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Scandinavian countries. Those introduction of Bauhaus method by Korean students into Korea had influenced the domestic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it was worth notice that Park Hui-rak pointed out through his writing that Bauhaus education method had already existed in the CQuntry before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35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Park hinted in his book of "Korean Design History,199B" that the curriculum of primary school, then affiliated with Taegu Education College had been possibly influenced from Composition Education" idealogy led by Japanese Kawakita Rensichiro. In Japan, Bauhaus education method had been independently introduced by civilians like primary school teachers of Kawakita. However, the possible introduction of the informative art education in the country by way of Japan leaves a lot of things to be considered. Because, the introduction was carried out by Choson governor-General which took charge of colonial rule of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full explanation on the introduction of formative art education and on the types. For that purpose, examinations on various materials and information released by many educational institutes as well as by choson Governor-General were included. As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out a trace of "Composition Education : Japanese Bauhaus Formative Art Education" in 1937, one year earlier pointed out. And it was remarkable that two interested books were found out, which mainly dealt with Spanung of Composition and Dynamic sense. Finally, through examinations in many aspects, five drawing education books written in 1930s, such as Drawing Guide Details and indication, were proved to be equal to Bauhaus Composition Education in terms of terminology and contents. Moreover, it has been made clear that Composition education Choson was made mostly unde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Choson Governor-General in the of books on education systems in then education college.

본 연구는, 일본을 경유로 한 한국의 바우하우스(Bauhaus) 조형교육방법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1945년 이후에 바우하우스의 교육방법이 독일에서 미국을 경유로 한 도입경로와 미국과 스칸디나비아 등으로의 한국 유학생을 경유로 한 도입경로는 규명되었으나, 이러한 도인은 주로 당시의 대학 교육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과 달리, 그 이전에 바우하우스의 영향의 가능성을 지적한 이는 박휘락이다. 저서 $\boxDr$한국디자인사$\boxUl$(1998)에 있어서 박은, 1938년 대구 사범학교 부속 소학교의 커리큘럼이 일본의 카와키타 렌시치로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 이념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 바우하우스 교육방법의도입은, 카와키타를 비롯한 소학교 교사들에 의해 민간에 있어서 자주적으로 추진된 경로이나, 이 일본을 경유한 한국의 도입 가능성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당시 식민지 정부인 조선총독부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이례의 ${\ulcorner}$행정주도$\lrcorner$에 의한 도입형태에 관한 것이다. 실재 어떤 방법으로 행하여 졌는가\ulcorner 또는 어떠한 도입형태가 가능하였는가\ulcorner 에 관해 해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현존하고 있는 교육기관이 발행한 자료의 조사, 교육령 등의 조선총독부 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박휘락이 지적한 1938년보다 1년 빠른 1937년에 ${\ulcorner}$구성교육(일본의 바우하우스 조형교육)${\lrcorner}$의 도입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1939년 이후에도 두 권의 문헌을 발견하였는데, 그 내용 또한 ${\ulcorner}$구성교육${\lrcorner}$${\ulcorner}$슈판눙${\lrcorner}$. ${\ulcorner}$콤포지치온${\lrcorner}$${\ulcorner}$감각(역학적 감각)$\lrcorner$ 등을 다루고 있다. 결론으로써, 1930년대의 소학교의 도화교육방법을 기술한 $\boxDr$도화지도세목$\boxUl$${\ulcorner}$지침서${\lrcorner}$ 총 5권이, 용어와 교육내용에 있어서 ${\ulcorner}$바우하우스의 구성교육${\lrcorner}$ 과 일치하였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