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Aguyjjim (Local Foods in Busan)

부산향토음식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 및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 김상애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andardize recipe and analyze the nutrients of Aguyjjim (stewed angler), a kind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m of angler and its way to catch for a bait were recorded in Jasanobo, but the recipe was not written. While angler was used as manure or feed once, it was boomed for Aguyjjim since 80's, accredited as high-quality fish and protein-rich food. The standard recipe of Aguyjjim was prepared (through 3 times experimental cooking), being based on the recipe of cookbooks and restaurants. Then standard recipe was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 All sensory properties (appearance, smell, texture etc.) of Aguyiiim were evaluated as “like slight S, moderately”in hedonic scale. Energy per 100 g of the Aguyjjim was 89 kcal. It contained protein (10.7 g), fat (1.3 g), fiber (2.6 g), Ca (45 mg), Fe (1.3 mg) and so on. Amino acid is mainly comprised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Free amino acid contents such as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 were high. Fatty acid primarily consisted of unsaturated fatty acid like oleic acid, linoleic acid. Traditional foods are based on that of local food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study looking into the recipes and nutritional value of local foods. Aiming at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the present study offered the standard cuisine of Aguyiiim that is a kind of local foods in Busan. In addition, it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nutrient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This data would be helpful for houses, restaurant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to revive the local foods.

본 연구는 부산 향토음식인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과 영양성분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ulcorner$자산어보$\lrcorner$에 아귀의 형태 및 식이방법에 대하여 적고 있으나 조리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예전에는 거름이나 사료용으로 쓰였으나 아귀찜의 붐이 형성된 80년대부터 고단백 식품으로 인정되면서 고급어종으로 부상되었다. 2. 표준조리방법은 요리서 및 부산아귀찜 전문점의 레시피에 근거하여 식재료의 종류 및 양,조리방법을 3차례의 실험조리 및 관능검사를 거쳐서 수정.보안하여 확정하였다. 3. 표준조리방법으고 조리된 부산아귀찜의 특징은 생아귀, 콩나물, 해물조미료, 맛국물, 전분, 미세한 고춧가루 등의 식재료와 볶음.찜이 병행되는 조리법, 화력의 강약 조절 등으로 독특한 감칠맛과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다. 4. 아귀찜 100 g당 에너지는 89 kcal, 단백질 10.7 g, 지질 1.3 g, 당질 3.0 g, 식이섬유 2.5 g, 칼슘 167 mg, 철분 1.3 mg 이었다. 또 1인분(370 g)당 에너지는 329 kcal, 단백질 40 g, 지질 4.8 g, 당질 11.1 g, 식이섬유 9.6 g, 칼슘 167 mg, 철 4.8 mg으로 단백질, 철분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감칠맛 성분을 가진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의 산성 아미노산의 할량이 높았으며 맛에 영향을 주는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의 함량이 높았다. 구성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서로 함량이 많았다. 아귀찜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아귀와 콩나물 등 20여 종의 식품이 이용된 전통.향토음식으로 식이섬유의 양은 많고 열량은 낮아 저열량식 이고 다이어트식이며 또한 영양균형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귀찝은 많은 전통.향토음식이 가지고 있는 생활습관질환의 예방에 호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각 지역의 전통 향토음식의 발전은 우리음식문화발전의 기틀이 되고 있지만 점차 전통음식이 사라져가고 있는 이 때 부산의 전통향토음식인 아귀찝의 표준조리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영양소,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그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 과학적.영양적 자료가 가정을 비롯한 전문점, 단체 급식시설에서 널리 활용되어 전통향토음식의 보급 및 우리음식의 전통성.향토성의 전수가 확대되길 기대하며 우리음식의 세계화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秋庭隆. 1995. 食材圖典. 小學館, 東京. p 34-35.
  2. 荻田守. 1988. 料理大事典. 學習硏究社, 東京. p 92-95.
  3. 成瀨宇平. 1993. 世界の魚食文化考. 丸善(株), 東京. p 192-196.
  4. 홍문화, 홍성유. 1987. 소문난 맛을 찾아서. 중앙일보사, 서울. p 65.
  5. http:/www.jounnara.co.kr/어류도감/aqui.htm.
  6. http:/www.fishweek.co.kr/fishphoto/fish230/fish51.html.
  7. 국립수산진흥원. 1994.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부산. p 68.
  8. 한국수산회. 1999. 수산연감.
  9. Cha BY, Hong BQ, Jo HS, Sohn HS, Park YC, Yang WS, Choi OI. 1997. Food habit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 Korean Fish Soc 30: 95-104.
  10. Cha BY, Park YC, Huh SH. 1998.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 Korean Fish Soc 31: 529-534.
  11. Jeung YA. 2001. Protein quality evaluation of raw and cooked monkfish (Lophiomus setigerus) mea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2. http:/www.cooki.co.kr/aku.htm.
  13. http:/kr.encycl.yahoo.com/result.html?id=52192.
  14. 김복진. 1998.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음식백가지. 현암사, 서울. p 725-727.
  15. http:/www.harenet.ne.jp/shopping/jyoyo/ankimo.htm
  16. 石黑正吉. 1985. 魚. 料理つう百科 第4卷. 東京書房社, 東京. p 166-169.
  17. http:/www.top.or.jp/ankou/glume/index.html.
  18. http:/www.harenet.ne.jp/shopping/jyoyo/harenet.ne.jp/shopping/jyoyo/nabe.htm.
  19. 木原尙. 1998. 越後.佐渡食彩探訪. 新潟日報事業社, 新潟. p 140.
  20. 平野雅章. 1985. たべものの語源考. 雄山閣出版, 東京. p 16-18.
  21. 川上行藏. 1992. つれづれ日本食物史(第2卷). 東京美術, 東京. p 31-35.
  22. 국어국문학회. 2001. 새로나온 국어사전. 민중서관, 서울. p 2379.
  23. Kim ES, Chun HJ, Lee HG. 1990. A Bibliographical study of Tzean using the fish, vegetable and etc. Korean J Dietary Culture 5: 77-99.
  24. 경상남도 농촌진흥원. 1994. 경남향토음식. p 238.
  25. 거제시. 1998. 거제향토음식. p 78.
  26. 川上行藏. 1989. 日本料理事物起源 湯吹きと風呂吹き. 紫田書店, 東京. p 18-20.
  27. 한복려. 2001. 한복려의 우리음식 287가지. 중앙 M&B, 서울. p 250.
  28. Cookand. 2000. (주)베스트홈. 쿠켄, 서울. p 177.
  29. 조창숙외 19인. 1999. 한국음식대관 제 2권. 한림출판사, 서울. p 451.
  30. 한복진. 1998. 우리가 알아야 할 음식 백가지 2. 현암사, 서울. p 729.
  31. 여성자신. 1998. 1258가지 메뉴로 차리는 365일 식단. 주부생활, 서울. p 453.
  32. 하숙정. 1997. FM요리. 도서출판 수도, 서울. p 92.
  33. 우먼센스. 1992. 겨울식단 요리. 서울문화사, 서울. p 11.
  34. Choo JJ, Shin MK, Kwom KS, Yoon GS. 1998.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Cheollabuk-do province. Korean J Com Nutr 3: 630-641.

Cited by

  1. Constitution of Formal and Informal Meal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Korea vol.41, pp.10,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1467
  2.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vol.36, pp.11, 2007, https://doi.org/10.3746/jkfn.2007.36.11.1472
  3. 향토음식 연구경향 분석 - 국내 식품영양학분야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vol.32, pp.2, 2002, https://doi.org/10.7318/kjfc/2017.32.2.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