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1. 퇴비 시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between the NeO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vigour at early growth, yields, and mineral nutrients of forages as affected by compost application

  • 정연규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발행 : 2002.03.01

초록

동일한 토양명(송정통)을 갖는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 토양과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필수적인 퇴비(I보), 석회(II보) 및 인신(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퇴비구, 2) 퇴비시용구(1,200kg/10a기준)를 처리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퇴비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두 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옥도) 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옥도 등급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두 토양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면(신개간지 토양 ↔ 기경작 초지토양); pH, Ca과 Mg 함량은 불량 ↔ 보통, 유효인산 함량, 염기포화도 및 염기비는 불량 ↔ 양호, K 함량은 보통 ↔ 양호, 인산 흡수계수는 양호 ↔ 양호, 양이온치환용량은 불량 ↔ 약간불량 수준을 보였다. 시험 후 유효인산 함량은 두 토양 공히 무퇴비구보다 퇴비 시용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개량효과가 높았다. 신개간지 토양에서 퇴비 시용으로 CEC상승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2. 목초의 초기 생육상은 신개간 토양보다 기경작 초지토양에서 매우 양호하였으며, 초기 생육상에 미치는 퇴비의 시용 효과는 신개간 토양에서 크게 나타났고, 반면에 기경작 초지토양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무퇴비구에서 기경작 초지토양의 목초수량이 신개간 토양보다 50.9% 더 높은 목초 생산성을 보였다. 신개간지는 퇴비 시용으로 17.1% 증수하였고, 반면에 기경작 초지는 7.6% 증수효과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신개간지 토양에서 퇴비의 시용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기경작 초지토양의 목초 중 Ca, Mg, P 함량이 신개간 토양의 목초 중 함량보다 확연히 높았으나 K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했다. 신개간지 토양의 목초 중 Mg과 P 함량은 무퇴비구 보다 퇴비시용구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

This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orage productivity and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in an orchardgrass sward as affected by the compost lime, and phosphorus applications o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pasture soils. This 1st part was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pasture soils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s fellows(newly reclaimed soil ↔ arable pasture soil): poor ↔common in pH and contents of Ca and Mg; Poor ↔ good in content of available P$_2$O$_{5}$, base saturation, and mutual balance of Ca : Mg : K; common ↔ good in K content; good ↔ good in absorption coefficient of P$_2$O$_{5}$; poor ↔ somewhat poor in CEC. The contents of available P$_2$O$_{5}$ in both soils after experiment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compost block than non-compost block. It was recognized that the compost application was resulted in the CEC increase in the newly reclaimed soil. 2. The vigour at early growth of orchardgrass was better in the arable pasture soil then newly reclaimed soil. In the newly reclaimed soil, the vigour at early growth of orchardgrass was remarkedly enhanced by compost application. 3. Under the non-compost application, the orchardgrass yield was higher in the arable pasture soil by 50.9% than newly reclaimed soil. Compared with the non-compost application, the orchardgrass yields were increased in the newly reclaimed soil by 17.1% and the arable pasture soil by 7.6% by the compost application. 4. The concentrations of Ca, Mg, and P in orchardgras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arable pasture soil than the newly reclaimed soil,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K concentra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Mg and P in orchardgrass were higher in the compost block than the non-compost block.block.

키워드

참고문헌

  1. Shin, Y.H. 1972. The description and classifi- cation of Korean soils. ASPAC Technical Bulletin No. 10
  2. Toth. 1964. Recited from soil & soil related problems. In: Hansen, Turfgrass Sciences. ASA. 101
  3. Weinberger, P. 1979. 한국에 있어서 산지의 초지개량기술. 한초지, 1(2):7-13
  4. Weinberger, P. 1982. 산지초지조성을 위한 임야지의 제특성. 한초지, 3(1):10-11
  5. 農技會. 1967. 草地土壤生産力に 關する 硏究. 農林水産技術會, 硏究成果, 31:16-22
  6. 原田勇. 1979. 牧草의 營養과 施肥. 養賢堂, 東京. 4-6
  7. 농진청. 1974. 신개간지 영농기술. 농촌진흥청, 11-55
  8. 농진청. 1982. 산지초지조성과 이용. 농촌진흥청. 35-46, 126-127, 196-209
  9. 농진청. 1983.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농촌진흥청, 개정 제1판; 식물환경 및 사료 작물편
  10. 유인수. 1978. 산지토양의 특성 및 개량. 한토비지, 11(4):247-262
  11. 이종기. 1970. 지역별 목초의 영양진단. 식환연구보고서, 4-695-714
  12. 정연규. 1984. 초지토양관리와 비료. 한국가리연구회
  13. 정연규, 박병훈, 이종열 외. 1982. 석회 및 3요소 시용수준이 겉뿌림 산지초지에 미치는 영향(I-IV보), 한축지, 24(6):493-516
  14. 정연규, 이종열. 1986. 산지경사도 및 3요소 시용수준이 초지토양 및 목초 중 무기 양분의 상호균형과 grass tetany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9(3):231-238
  15. 허봉구, 조인상, 민경범, 엄기태. 1984. 우리나라 토양의 대표적인 물리화학적 특성. 한토비지, 17(4):330-336

피인용 문헌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Feces Composts Commercially Produced in Gyeonggi Province in 2008 vol.44, pp.2, 2011, https://doi.org/10.7745/KJSSF.2011.44.2.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