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주지역에서 예취높이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s of Cutting Height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in Jeju

  • 발행 : 2002.03.01

초록

제주지역에서 예취높이에 따른 (2, 4, 6, 8 및 l0cm)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은 2cm 예취에서 157.7cm였던 것이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10cm 예취에서는 180.2cm로 커졌다.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주당 무게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 수량은 2cm 예취에서 각각 85.5MT/ha, 11.97MT/ha, 1.63MT/ha, 4.95MT/ha로 감수되었으나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10cm 예취에서 생초수량 113.7MT/ha, 건물수량 15.63MT/ha, 단백질수량 2.72MT/ha, TDN수량은 7.54MT/ha 증수되었다. 예취높이가 2cm에서 l0cm로 높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14.2%에서 17.6%로, 조지방 함량은 2.9%에서 3.9%로, NFE 함량은 24.2%에서 25.8%로, TDN 함량 35.5%에서 30.4%로, 조회분 함량은 9.9%에서 8.1%로 낮아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3 to October 8, 2001 in Jeju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utting height (2, 4, 6, 8 and 10 cm from the soil surface) on growth,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As cutting height was increased from 2 to 10 cm, plant height averaged across two cuttings increased from 157.7 to 184.7 cm. This pattern held fir the number of leaves and branches per plant, stem diameter and plant weight per plant. As cutting height increased from 2 to 10 cm, fresh fo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increased from 85.5 to 113.7MT/ha, from 11.97 to 15.63 MT/ha, from 1.63 to 2.72, and from 4.95 to 7.54 MT/ha, respectively. As cutting height was increased from 2 cm to 10 cm, crude protein, ether extract, nitrogen free extract, and TDN contents increased from 14.2 to 17.6%, 2.9 to 3.9%, 24.2 to 25.8% and 43.1 to 48.5%, respectively, while crude fiber and crude ash contents decreased from 35.5 to 30.4 % and 9.9 to 8.1 %,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조남기, 송창길, 조영일, 고지병. 2001a.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양마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한작지 46(6):439-442
  2. 조남기, 송창길, 조영일, 고지병. 2001b. 제주지역에서 질소시비량 차이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변화. 한초지 21(2):59-66
  3. 조남기, 송창길, 강봉균, 조영일, 고지병. 2001c. 제주지역에서 재식밀도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5):755-762
  4. 정승근, 조동삼, 조남식. 1995. 지구온난화 방지 및 농촌 소득증대를 위한 새로운 속성 섬유자원개발 I. 속성섬유자원 양마와 어저귀의 건물생산성. 대산논집 3:174-176
  5. 金永斗, 李載吉, 申鉉卓. 1997. Brittle Culm 벼의 刈取높이가 靑刈收量 및 營養價에 미치는 影響. 韓作誌 42(5):528-533
  6. 金正喆, 崔基春, 金光鉉, 金宇福. 1993. 高溫期 刈取方法이 Orchardgrass의 生長 및 炭水化物 蓄積에 미치는 影響. 韓草誌 13(4):257-267
  7. 金熙泰, 朴贊浩, 孫世鎬. 1992. 工藝作物學. 鄕文社. pp 97-106
  8. 이형석, 이인덕. 1994. Orchardgrass-Red Clover 草地의 刈取頻度와 높이가 牧草의 收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韓草誌 14(4):295-306
  9. 申載珣, 朴根濟, 車英鎬, 李弼相, 尹益錫. 1988, 越冬前 刈取높이가 北方型 牧草의 越冬性, 이른봄 收量 및 養分生産에 미치는 影響 Ⅱ. 草種別 刈取높이에 따른 一般成分 含量 變化, Energy 生産量 및 相關關係. 韓草誌 8(1):20-25
  10. 서성, 김재규, 이효원. 1992.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Ⅱ. 예취높이가 주요 Reed canarygrass 목초의 재생과 수량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4):281- 287
  11.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성분분석법. p. 1-20
  12. Bhardivig, H.L., M. Rangappa and C.L. Webber. 1995. Potential of kenaf as a forage. Proc. 7th Ann. Intern. Kenaf Conf : 94-104
  13. Escalada, R.G. and D.L. Plucknett. 1977. Ratoon cropping of sorghum. Ⅲ. Effect of nitrate and cutting height on ratoon performance. Agron. J. 69:345-346
  14. Hollowell, J.E., B.S. Baldwin and D.L. Lang. 1996. Evaluation of kenaf as a potential forage for the southwestern United Sates. Proc. 8th Ann. Intern. Kenaf Conf : 34-38
  15. 原田 勇. 1979. 牧草の 營養と 施肥. 養賢當. pp.121
  16. Seo, S. and D.A. Kim. 1985. Effect of nitrogen and cutting height on the appearance and dry weight of new bud, and yield of forage sorghum-sudangrass hybrid. Korean J. Anim. Sci. 27(5):328-332
  17. Yusuke, G. and H. Kiyochika. 1987. Studies on the regrowth of rice plant shoots Ⅰ. Difference of regrowth obtained from the cutting in young panicle development stage. Japan. Jour. Crop Sci. 56(4):467-473
  18. Wardeh, M.F. 1981. Models for estimating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for feed. Ph. D. Disser- tation Utah State Univ., Logan, Utah, USA
  19. White, G.A., W.C. Adamson and J.J. Higgins. 1971. Effect of population levels on growth factors in kenaf varieties. Agron. J. 63:233-235 https://doi.org/10.2134/agronj1971.000219620063000200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