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첨가제가 종이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Paper Aging

  • 윤병호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 이명구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 최경화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발행 : 2002.09.01

초록

도서관이나 문서보관소에서 책이나 서류를 보존하는데 있어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종이의 열화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이의 열화의 주요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몇몇의 학자들이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종이 열화의 주요 원인으로서 종이 섬유내 셀룰로오스의 산 촉매 가수분해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종이제조시 첨가되는 첨가제로 인해 산성지의 노화율이 중성지의 노화율에 비해 더 높다. 따라서 종이내 존재하는 산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종이의 탈산화 처리는 열화속도를 감소시켜 산성지의 수명을 3, 4배정도 늘릴 수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기존의 탈산화 처리방법과는달리 대량의 책과 서류의 탈산화를 위한 효과적인 탈산화 방법의 필요성이 인식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종이 제조시 사용되는 첨가제가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효과적인 종이의 노화 방지를 위해 산성지에 가스상 에탄올아민류(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를 사용하여 탈산처리를 시도하여 보았다. 첨가제가 종이의 노화에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종이의 노화율이 알럼+로진>알럼>AKD> 무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스상 에탄올아민류 탈산처리 실험결과, 탈산처리율이 모노에탄올아민>디에탄올아민>트리에탄올아민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처리 후 종이에 약간의 백색도와 내절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상 에탄올아민류들을 조합 처리하여 탈산처리를 시도해 본 결과, 백색도와 내절도의 감소없이 효과적인 탈산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ird limit" is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reduction of $H_2O$$_2$, which is reduced by wall effect. Strain rate substantially affects ignition temperature because key reaction rates of $H_2O$$_2$ are comparably with its transport rate, while the mixture temperature and the hydrogen composition do not significantly affect ignition temperature.e.성 면역 결핍증 환자가 직업을 가지면 안된다는 사람보다 된다는 사람이(P<0.001), 각각 지식이 높았다. 결론 : 지식이 높을수록 성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고, 태도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그러므로 가능하면 중고교 시절에 이 질환에 대한 정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와 활동성 정도(r=0.378, P<.05), 평균 통증정도와 활동성 정도가(r=.330, P<.05)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여성에서는 활동성 정도와 통증의 중증도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의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와 활동성 정도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만 여성에서는 보행 능력, 통상적인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to preserve books and documents in libraries and archives is the deterioration. Some of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cause of paper deterioration was the acid-catalyzed hydrolysis of the cellulose in paper fibres and aging rate of acidic paper was faster than that of alkaline pap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acid in the paper for reducing the rate of paper deterioration. It has been reported to extend the useful life of acidic paper by three to five times. 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the need for an effective method of deacidifying large quantities of books and document. However, in the previous many reports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ect of paper additives.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experiment about the effect of additives on paper aging and the effect of deacidification by the gaseous ethanolamines (monoehtanolamine, diethanolamine, triehtanolamine).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of aging was in the order of the alum+rosin>alum >AKD> control and the rate of deacidification was in the order of the monoethanolamine>diethanolamine>triethanolamine. The treatment with the gaseous ethanolamines caused decreasing of brightness and dropping of fold endurances. However, deacidification by combination treatment of the various gaseous ehtnaolamines prevented from decreasing of brightness and dropping of folding enduran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