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ge detection method using unbalanced mutation operator in noise image

잡음 영상에서 불균등 돌연변이 연산자를 이용한 효율적 에지 검출

  • 김수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전산통계학과) ;
  • 임희경 (서강정보대학교 정보통신부) ;
  • 서요한 (서강정보대학교 인터넷정보과) ;
  • 정채영 (조선대학교 수학·전산통계학부)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detecting edge using an evolutionary programming and a momentum back-propagation algorithm. The evolutionary programming does not perform crossover operation as to consider reduction of capability of algorithm and calculation cost, but uses selection operator and mutation operator. The momentum back-propagation algorithm uses assistant to weight of learning step when weight is changed at learning step. Because learning rate o is settled as less in last back-propagation algorithm the momentum back-propagation algorithm discard the problem that learning is slow as relative reduction because change rate of weight at each learning step. The method using EP-MBP is batter than GA-BP method in both learning time and detection rate and showed the decreasing learning time and effective edge detection, in consequence.

이 논문은 진화 프로그래밍과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에지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진화 프로그래밍은 알고리즘의 성능저하와 계산비용을 고려하여 교차 연산은 수행하지 않고, 선택연산자와 돌연변이 연산자를 사용한다.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은 학습단계에서 연결강도를 변화시킬 때 이전학습단계의 연결강도를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 개선된 역전파 알고리즘은 학습률 $\alpha$를 작은값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각 학습단계에서의 연결강도 변화량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학습이 느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결과 학습시간과 검출률에 있어서 GA-BP(GA : Genetic Algorithm BP : Back-Propagation)를 이용한 방법보다 제안한 EP-MBP(EP : Evolutionary Programming, MBP :Momentum Back-Propagation)를 이용하여 학습시킨 방법이 학습시간의 단축과 효율적인 에지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D.H.Ballard and C.M.Brown, 'Computer vision,' Pres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NJ, 1982
  2. 박찬란 외, '유전자와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윤곽선 추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5권 제11호, pp.3010-3023, 1998
  3. D. B. Fogel, 'Ev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CA, 1992
  4. David E. Goldberg, 'Genetic Algorithm in Search,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Wesley, 1989
  5. 김부열, '배열문법을 이용한 필기체 숫자 인식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학위논문, 1991
  6. 오명관 외, '복소-대수 사상함수와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필기체 숫자의 불변인식',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제21권 제3 호, pp.464-470
  7. Sukhan Lee, 'Robust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based on Dual Cooperative Network,' IEEE IJCNN, Vol. 3, pp.760-768, 1992 https://doi.org/10.1109/IJCNN.1992.227060
  8. 이흥호, 'M 변환과 환 이동 불변 신경망을 이용한 효율적인 패턴인식',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1994
  9. S. Kageyu, 'Augmented Multi-layer Perception for Rota-tion-and-Scale Invariant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IEEE IJCNN, pp.54-59, 1991
  10. 김종호 외, '신경회로망과 Log-Polar Sampling 기법을 사용한 항공기 영상의 연상인식',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제28권 제12호, pp.59-67, 1991
  11. P. D. Wasserman, 'Neural Computing :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Van Nostrand Roinhold, 1989
  12. J. M. Zurada, 'Introduction to Artificial Neural System,' St. Paul. West Publishing Co. 1992
  13. Y. H. Yu, R. F. Simmons, 'Descending Epsilon in Back-Propagation : A Technique for Better Generalization,' IEEE IJCNN, Vol.3, pp.167-172, 1990 https://doi.org/10.1109/IJCNN.1990.137840
  14. 권세욱 외, '계층적 신경망을 이용한 다중크기의 다중활자체 한글 문서 인식',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69-79, 1992
  15. Randy Crane, 'Simplified approach to Image Processing,' Prentice-Hall, 1997
  16. Karin Sobottka, Ioannis Pitas, 'Extraction of Facial Regions and Features Using Color and Shape Information,'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pp.421-425, 1996 https://doi.org/10.1109/ICPR.1996.546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