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성 폐면용 쓰개의 특징 - 박물관 유물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 of Women's Veils in Chosun Dynasty Period - Focusing on the Museum Collection -

  • 류보영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 ;
  • 임상임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
  • 발행 : 2002.09.01

초록

This study is about women's veils from Chosen period housed in various museums and see how they reflect the escalating inequality between the two sexes based on Confucianism and its social ramifications including the strict rules that kept women from freely communicating or staying in same quarters with men from tender age. I first visited various museums to see what kind of veils they had in their collections and then looked at reproductions, museum catalogues, and other studie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signs, colors, and fabrics of the veils in each collection and came to following conclusions:. 1. I looked at 26 veils of 7 different sues both in person and in museum catalogues, and they included a Neouls,3 Myunsas, l2Jahngots,4 Chuneuis,1 Sahkgat 3Junmos, and 1 Garima. Various documents attest to the existence of one more style of veil,1. e. skirt-shaped veil, but there was no specimen of the type. 2. Museums had various types of veils for women, but most of them dated from late Chosun period. 3. Female veils in Chosun period had dearly-define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wearers. Each type had its own fabric color, and form, so one could tell the status of the wearer just by looking at it 4. The veils that I found at museums around the country had following characteristics: . Neoul was worn by high-class women and it covered up the face better than other types of veils. Myunsa was also caned Myunsapo, and it featured brilliant gold foils to mark the salted status of the wearer. Jahngot was originally a robe for both sexes but it turned into a type of veil for low-class females in late am period and there were more Jangots in museum collections than my other type of veils. Chuneui has various styles and it has a cotton lining so low-class women wore it to both cover the face and to stay worn Sahkgat was worn by low-class women for its convenience. Junmo was elaborately decorated and showy, and it was worn by courtesans. Garima was worn by courtesans or professional women in medicine, and unlike other type of veils, it showed the face of the wearer.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너울에 관한 고찰 김애리
  2.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시대의 내외용 쓰개류에 관한 고찰 김향선
  3. 홍익대 산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선왕조시대 여인의 내외용 쓰개에 대한 연구 배혜경
  4.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왕조시대 여성의 내외용 쓰개류에 관한 연구 이순성
  5.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옷에 관한 연구 이진경
  6.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여성쓰개(蔽面)에 관한 연구 홍나영
  7. 증보 한국복식사 연구 김동욱
  8.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너울에 관한 고찰 김애리
  9. 한국복식사연구 유희경
  10. 조선여속고(調鮮女俗考) 이능화
  11.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왕조 사회의 내외용 쓰개류의 고찰 전혜숙
  12.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왕조 사회의 내외용 쓰개류의 고찰 전혜숙
  13.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여성쓰개(蔽面)에 관한 연구 홍나영
  14. 宣和奉史 高麗圖經 卷第十二貴婦 v.12 서긍(徐兢)
  15.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너울에 관한 고찰 김애리
  16.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여성쓰개(蔽面)에 관한 연구 홍나영
  17.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면사에 관한 고찰 강언아
  18.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면사에 관한 고찰 강언아
  19. 한국복식사연구 유희경
  20. 서울여대 농촌발전연구서;제5집 두루마기(周衣)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김미자
  21. 한국의류학회지 v.2 no.2 내외용 쓰개류에 대한 고찰 강순제
  22. 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왕조 사회의 내외용 쓰개류의 고찰 전혜숙
  23. 조선상식 풍속편 최남선
  24. 한국전통 복식사연구 고복남
  25. 한국복식사 석주선
  26.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너울에 관한 고찰 김애리
  27.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면사에 관한 고찰 강언아
  28. 복식 v.51 no.8 17세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이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