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acity and Valu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for Namsan Nature Park in Seoul

서울 남산 도시자연공원의 대기정화능과 가치

  • 조현길 (강원대학교 산림경영·조경학부) ;
  • 조용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환경연구부) ;
  • 안태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is study quantified $CO_2$, SO$_2$and NO$_2$uptake by vegetation for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and explored values for the park to contribute to atmospheric purification. Broad-leaved forest accounted for about 54% of total forest area, and tree-age structure was dominated by a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Tree density and basal area averaged 17.5 trees/100$m^2$ and 2,580$\textrm{cm}^2$/100$m^2$, respectively. Atmospheric purification per unit area by forest type and age class was greater in older age classes, associated with changes in basal area, and tended to be greater in broad-leaved or mixed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for the same age classes. Mean $CO_2$storage per unit area for all the forest types and age classes was 293.8 t/ha and economic value of the $CO_2$storage was ₩ 147millions/ha. Annual uptake averaged 24.6t/ha/yr for $CO_2$, 17.1 kg/ha/yr for SO$_2$and 43.9 kg/ha/yr for NO$_2$, and economic value of the annual uptake was ₩ 13millions/ha/yr. Total forest area stored 72,100 t of $CO_2$, and annually sequestered 6,040 t/yr of $CO_2$, 4,200 kg/yr of SO$_2$and 10,770 kg/yr of NO$_2$. Economic valu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for the entire area amounted to approximately ₩ 36,100millions for the $CO_2$storage, and ₩ 3,100millions/yr for the annual $CO_2$, SO$_2$ and NO$_2$uptake. The park played an important role through annually offsetting $CO_2$emissions from fossil fuel consumption by 1,100 persons, SO$_2$emissions by 2,800 persons, and NO$_2$ emissions by 1,160 pers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not merely in informing the public of atmospheric purification values of urban nature parks, but in urging the necessity for replanting and management budgets.

본 연구는 서울시 남산 도시자연공원을 대상으로 식생의 대기 $CO_2$, SO$_2$및 NO$_2$흡수능을 계량화하여 대기정화에 기여하는 가치를 구명하였다. 활엽수림이 전체 식생면적의 약 54%를 차지하였고, 수령구조는 유목내지는 성장과정의 수목들로 우점하였다. 평균 교목밀도와 기저면적은 각각 17.5주/100$m^2$, 2,580$\textrm{cm}^2$/100$m^2$ 이었다. 식생유형 및 영급별 단위면적당 대기정화능은 기저면적의 변화와 유관하여 영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동일 영급 내에선 대체로 침엽수림보다는 혼효림이나 활엽수림이 더 컸다. 식생유형 전체의 단위면적당 평균 $CO_2$저장량은 293.8t/ha이었고 경제가치는 147백만원/ha이었다. 연간 흡수량은 $CO_2$ 24.6t/ha/yr, SO$_2$17.Ikg/ha/yr 및 NO$_2$ 43.9kg/ha/yr이었고 연간 경제가치는 13백만원/ha/yr이었다 전체 식생면적은 총 72.100t의 $CO_2$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마다 $CO_2$ 6.040t/yr, SO$_2$ 4,200kg/yr, NO$_2$10,770kg/yr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전체면적의 경제가치는 $CO_2$저장 약 361억원, 연간 $CO_2$, SO$_2$ 및 NO$_2$흡수 31억원 /yr에 상당하였다. 남산 도시자연공원은 해마다 시민 약 1,100인의 $CO_2$배출량, 2,800인의 SO$_2$배출량, 1,160인의 NO$_2$배출량을 각각 상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자연공원의 대기정화 가치를 홍보함은 물론. 보강식재 및 관리의 예산확보에 필요한 설득력 있는 기반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2000) 대기오염물질배출량 1999. 104쪽
  2. 에너지경제연구원(1999) 한국의 지구온실가스 배출과저 감정책 도입 방안 연구. 120쪽
  3. 이경재(1993a) 대기오염과 산성비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1): 11-18
  4. 이경재(1993b)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한국환경행정학회 · 삼성지구환경연구소.141-153쪽
  5. 임업연구원(1997)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임업연구보고서
  6. 조현길 (1999) 강원도 일부도시의 경관내 탄소흡수 및 배출과 도시녹지 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7(1):39-53
  7. 조현길(2001) 식생의 $co_2$, 흡수 및 대기정화능 지표개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지표 개발 전문가 초청 세미나 III.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39-73쪽
  8. 조현길. 안태원(2000)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한국환경생태학회지14(3): 175-182
  9. 조현길, 이경재, 권전오(1998)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2(1): 30-41
  10. 조현길. 이기의(2000) 도시녹지의 에너지절약 및 대기$co_2$, 농도저감과 계획지침. 한국조경학회지 27(5):38-47
  11. 환경부(1998) 환경통계연감 1998(제11호). 581쪽
  12. 환경부(1999) 환경통계연감 1999(제12호). 594쪽
  13. 환경부(2000) 환경통계연감 2000(제13호). 622쪽
  14. Alatalo, R.V.(1981)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evenness in ecology. OIKOS 37:199-204 https://doi.org/10.2307/3544465
  15. California Energy Commission(1992) Electricity Report: Air Quality. Sacramento, CA
  16. Krebs, C.J.(1978) Ecology: The Expeh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2nd ed.). Harper and Row, New York, 678pp
  17. McPherson, E.G.(1998)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Sacramento' s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24(4); 215-223
  18. Scott, K.L, E.G. McPherson, and J.R. Simpson(1998) Air pollutant uptake by Sacramento' s urban forest. Journal of Arbohculture 24(4): 224-234
  19. http://152.99.72.107/snlm/doc/s12_1_2.htm
  20. http://www.me.go.Ikr/www/db/data/ index.htm)
  21. http://www.parks.seoul.kr/nam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