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 Daytime and Nighttime Apparent Temperature in South Korea

남한의 겨울철 주.야간 체감 온도의 공간적 분포 특성

  • 최광용 (기상청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 ;
  • 강철성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소)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d wintertime bioclimatic zones of South Korea based on daytime and nighttime distribution of wind chill index calculated from climate data during the coldest month for latest 30 years (1971- 2000). The results show that the winter daytime and nighttime wind chill index were influenced by climatic factors such as elevation, land-sea breeze, topology, and sea currents etc. as well as climatic components such as temperature, wind speed, and sunshine, so that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five bioclimatic zones; Cool day- cold night zone, Keen day- Cold night zone, Keen day-Very Cold night zone, Cold day and night zone, and Cold day-Extremely Cold night zone. Especially, coasts and island areas, except for south coast of Korea, shows Keen bioclimatic response during daytime and Very Cold bioclimatic response during nighttime. This indicates that coasts and island areas, except for south coast of Korea are affected by moonson and land-sea breeze. In addition, highly elevated Daegwallyeong shows Cold bioclimatic response during daytime and Extremely Cold during nighttime due to the influence of adiabatic temperature lapse rate and monsoon. This study offers basic data necessary to make decisions concerning insulation such as clothing and architect etc. by classifying winter bioclimatic zones of South Korea based on various daytime and nighttime distribution of wind chill.

본 연구는 최근 30년 (1971-2000) 최한월 (1월) 평균 기온 및 풍속, 일사량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는 기온, 풍속, 일사량 등의 기후요소뿐 아니라 해발고도, 해륙풍, 지형, 해류 등의 기후인자의 영향을 받아 남한은 크게 5개의 생리기후지역으로 세분되었다: 주간 서늘-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매우추움 지역, 주.야간 모두 추움 지역, 주간 추움-야간 극도로 추움 지역, 특히, 남해안을 제외한 해안-도서지역은 계절풍 및 해륙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싸늘함(Keen), 야간에는 매우 추움(Ver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또한, 해발고도가 높은 대관령 지역에서는 기온 감률 및 계절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추움(Cold), 야간에는 극도로 추움(Extremel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기후 지역을 구분함으로써 의복 및 건축 등의 단열에 관한 의사결정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철성, 1997, '한국의 열감분포에 관한 생리 기후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2(2), 129-140
  2. 김혜정, 1988, 남한의 wind chill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순웅, 1990, '한반도에서 3차원 해륙풍 수치 모텔의 결과‘. 한국기상학회지, 26(2), 78-103
  4. 이병설, 1979, '남한의 강설분포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지리교육. 9, 224-235
  5. 이종범, 전상호, '한국의 기후구분에 관한 연구-Comfort Index-에 의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8(1), 39-52
  6. 전경은, 1971, 'Wind chill에 의한 남한 기후의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7(1), 33-39
  7. 전경은, 1974, '한랭기후에서의 쾌감지수'. 지리학, 9. 37-41
  8. 기상청, 2001, 한국 기후표 (1971-2000)
  9. Lerchl A., 1998, Changes in the seasonality of mortality in Germany from 1946 to 1995: the role of temp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2(2), 84-88
  10. McGregor G. R., 2001, The meteorological sensitivity of ischaemic heart disease mortality events in Birmingham, UK.,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5(3), 133-142
  11. Oke, T.R., 1987, Boundary Layer Climate(2nd ed.), Routledge
  12. Siple, P. A. and Passel, C. P., 1945, Measurement of dry atmospheric cooling subfreezing temperature, Proceedings of American Philosophy Society, 89, 17-99
  13. Steadman, R. G., 1971, Indices of wind chill of Oothed Persons. Journal ofApplied Meteorology, 10(4), 674-683
  14. Tromp, S. W., 1980, Biometeorology: The Impact of the Weather and Climate on Humans and Their Environment(Animals and Plants), London: Heyden
  15. http://www.kma.go.kr/
  16. http://www.msc-smc.ec.gc.ca/windchill/Science_equations_e.cfrn
  17. http://www.nfrda.re.kr/ko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