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 Use Change Detection at Kyeryongsan National Park by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계룡산국립공원의 토지이용변화

  • Shin, Jin-Min (Graduate Stud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ahng, Byung-Seon (Graduate Stud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Kyoo-Seoc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국립공원의 뛰어난 경승지와 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국가의 귀중한 자원으로서 잘 보존되고 관리되어야 하나 한국의 국립공원에서는 공원의 자연환경을 해치는 개발행위가 이뤄졌거나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행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련 환경자원의 활용이 필요하고 특히 토지이용변화의 파악이 요구되나 한국의 국립공원은 적절한 토지이용도가 결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표는 토지이용변화도를 제작하여 향후 국립공원에서 제안되는 개발행위가 해당국립공원의 토지이용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국립공원의 환경 및 경관 관리에 기여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988년도부터 1998년까지의 토지이용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2개년도의 Landsat TM 영상을 기하보정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과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하여 작성한 토지이용현황도와 토지이용변화도를 GIS에 입력하였으며 GIS의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10년간의 토지이용변화에 대해 파악하였다. 토지이용변화 파악 결과, 농지와 나대지가 계룡산국림공원 전체에서 43.7ha, 102.2ha 각각 감소하였고 산림과 개발지는 121.Oha, 24.8ha. 각각 증가하였다. 산림의 증가는 1988년 영상분류당시 산림의 가장자리 유령림이 농경지로 분류되었던 것이 10년 뒤 영상에서는 산림으로 분류된 결과로 파악되며 개발지의 증가는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 제2집단시설지구의 개발로 기존 농경지가 감소, 전용되었고 나대지는 개발로 인해 감소되었다. 개발지의 증가는 취락지구와 집단시설지구에서 두드러졌으며 이들 두 지구에서 산림, 농경지, 나대지 모두 감소하고 대신 개발지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계룡산 국립공원의 가장 큰 토지이용변화는 건물 신축이었으며 이는 집단시설지구의 신설에 기인하고 있다. 취락지구도 개발 행위가 증가하고 있어 집단시설지구와 취락지구의 이용후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작성한 토지이용변화도는 향후 국립공원의 경관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Seung-Mahn(1999) The Survey and Analysis of Nalura] Scenic Resources of Mujukuchon-dong Valley in Mt. Teogyu National Park Using GIS- Master Thesis. GIS program. Sungkyunkwan University, p. 15
  2. Civco, L. Danie1(l989)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Landsal Thematic Mapper Digital Imagery. Amcrican Society for Phologrammetry and Remole Sens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5(9):1303-1309
  3. Ekstrand, Sam(1996) Landsat TM-Based Forest Damage Assessmenl: Correction for Topographic EEfects. American Sociel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Pliotogramrnc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2(2): 151-161
  4. Jensen, John R.(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mg Perspective, Englewood diffs, New Jersey, Prentice-Hall
  5. Korea Environmenl Instilute(1999)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Remote Sensing Image. Minishy of Environment. V.
  6. Lillesand, T. M, and R. W. Kiefer(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3rd ed.) N.Y. John Wiley & Sons. pp. 612-615
  7. http://www.kicl.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