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llel Code Acquisition Techniques in Chip-Asynchronous DS/SS System

직접 수열 대역 확산 통신에서 비동기 위상 서명 수열의 병렬 부호 획득 기법

  • 오미정 (세종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윤석호 ;
  • 송익호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전기 및전자공학전공) ;
  • 배진수 (세종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We investigate optimal and suboptimal decision rules for parallel code acquisition in chip asynchronous direct-sequence spread-spectrum systems. The conventional decision rule for parallel acquisition is to choose the largest correlator output of a receiver. However, such a scheme is optimum only for chip synchronous models. In this paper, an optimal decision rule is derived based on the maximum-likehood criterion for chip asynchronous models. A simpler suboptimal decision rule is also discussed. The performance of the optimum and suboptimum decision rules is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decision rul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for chip asynchronous models, both the optimal and suboptimal decision rules outperform the conventional decision rule.

이 논문에서는 직접 수열 대역 확산 (DS/SS) 통신에서 비동기 서명 수열의 병렬 부호 획득을 위한 최적 및 준 최적의 결정법을 다룬다. 기존의 병렬 부호 획득 기법은 수신기에서 상관기 출력이 가장 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비동기 서명 수열에 대해 최적의 성능을 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비동기 서명수열에 맞는 최적의 결정법을 최대 우도비 기준에 바탕을 두고 유도한다. 또한 이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준최적 결정법도 제안한다. 최적 및 준최적 결정법의 성능은 비동기 서명 수열에 대해 기존의 결정법을 능가함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M.K. Simon, J.K. Omura, R.A. Scholtz, and B.K. Levitt,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Handbook: McGraw-Hill, 1994
  2. S. Glisic and B. Vucetic, Spread Spectrum CDMA System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rtech House, 1997
  3. S.A. Kassam, Signal Detection in Non-Gaussian Noise: Springer-Verlag, 1987
  4. I. Song and S.A. Kassam, 'Locally optimum detection of signals in a generalized observation model: The random signal case,'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36, pp. 516-530, May 1990 https://doi.org/10.1109/18.54900
  5. R.S. Blum, 'Locally optimum distributed detection of correlated random signals based on rank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2, pp. 931-942, May 1996 https://doi.org/10.1109/18.49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