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의 통행거리분포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rip Length Distribution between Commodity-Based Model and Truck Trip-Based Model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권혁구 (교통개발연구원 연구원) ;
  • 김건영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임홍상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강경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2.04.01

초록

도시화물수요예측모형에는 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이 있는데 화물기반모형은 화물체계가 기본적으로 화물운송과 관계가 있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차량이 아닌 화물의 움직임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반면에, 트럭통행기반모형은 집합화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각 죤(Zone)에 유·출입하는 트럭의 통행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럭통행기반모형의 O-D 추정시 화물통행과 트럭통행 사이의 관계식을 산출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통행거리분포함수(Trip Length Distribution : TLD)를 추정함에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교통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서울시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수립구상(1998)'의 화물 물동량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행거리분포에 따르는 화물 및 차량의 비율을 함수로서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트럭통행기반모형에서 트럭통행거리분포를 이용하여 화물기반모형에서 도출할 수 있는 화물의 통행거리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각각의 통행거리분포는 감마분포를 이용하여 함수식으로 도출하고 상기한 두 가지 분포모형을 하나의 관계식을 통해 재산정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트럭통행거리분포, 화물통행거리분포 모두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화물의 통행거리분포와 매개함수를 통해 재산정된 모형의 결과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품목별 적용에서는 잡공업품과 화학공업품은 본 연구의 매개함수식을 통해 화물거리분포 모형이 적합하였으나 금속공업 품과 경공업품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특별시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수립 구상 v.1-5 교통개발연구원
  2. 대한교통학회지 v.11 no.1 화물수송수단 선택모형의 이론 및 적용측면에서의 고찰 남기찬
  3.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Urban Freight Model Development Bowyer,D.P.
  4. NCHRP report 388 Guidebook for Forecasting Freight Transportation Demand Cambridge Systematics Inc
  5. 9th WCTR Proceedings CD-ROM Travel Demand Estimation using Traffic Counts on the Large Scale Network Jong Hyung Kim(et al)
  6. TRB 79th Annual Meeting Proceedings CD-ROM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ip Length Distributions in Commodity-based Freight Demand Modeling Jos Holgu-Veras
  7. Urban Goods Movement:A guide to Policy and Planning K.W.Og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