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ffic Conflict Criteria at an intersection

교차로 교통상충기준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형규 ((주)동아기술공사 교통부) ;
  • 박제진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 ;
  • 박찬모 (금호건설주식회사 도로부)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For many rears, traffic accident statistics are the most direct measure of safety for a signalized intersection. However it takes more than 2 or 3 yearn to collect certain accident data for adequate sample sizes. And the accident data itself is unreliable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accident data recorded and accident that is actually occurred. Therefore, it is rather difficult to evaluate safety for a intersection by using accident data. For these reasons, traffic conflict technique(TCT) was developed as a buick and accurate counter-measure of safety for a intersection. However, the collected conflict data is not always reliable because there is absence of clear criteria for conflict. This study developed objective and accurate conflict criteria, which is shown below based on traffic engineering theory. Frist, the rear-end conflict is regarded, when the following vehicle takes evasive maneuver against the first vehicle within a certain distance, according to car-following theory. Second, lane-change conflict is regarded when the following vehicle takes evasive maneuver against first vehicle which is changing its lane within the minimum stopping distance of the following vehicle. Third, cross and opposing-left turn conflicts are regarded when the vehicle which receives green sign takes evasive maneuver against the vehicle which lost its right-of-way crossing a intersec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flict and accident, it is verified that the suggested conflict criteria in this study ave applicable. And it is proven that estimating safety evaluation for a intersection with conflict data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preformed between accident and conflict, EPDO accident and conflict. Adopting the conflict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be both quick and accurate method for diagnosing safety and operational deficiencies and for evaluation improvements at intersection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refine the suggested conflict criteria to extend its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e other types of conflict criteria, not included in this study, in later study.

현재까지 교차로 위험도 측정 방법은 실제 사고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사고기록 자료의 수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고기록자료의 신뢰성과 정확성의 결여로 인하여 사고기록자료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교차로의 위험정도와 안전대책을 결정하기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차로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되는 바, 그 대안으로 교통상충기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충측정시 측정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조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게 되므로 상충자료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객관적인 상충측정기준 수립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상충유형을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진행방향별 상충특성을 중심으로 후미추돌, 측면충돌, 직각충돌, 그리고 대향좌회전충돌유형의 4가지로 분류하고, 공학적인 이론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상충측정기준을 정립하였으며, 정립된 상충기준에 의한 상충조사자료와 사고자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충기준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사고-상충, EPDO-상충간의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충조사를 통하여 교차로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밝혔다. 교통상충측정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충측정기준을 적용한다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교차로 위험도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교차로 운영개선효과와 위험교차로의 선정 및 관리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정립된 상충기준의 타지역 타교차로에 확대 적용 및 검증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유형에 대한 상충기준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에 가까운 우수한 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프로그래밍 과정이나 이론의 정식화가 유한요소법에 비해 상당히 어려운 점은 있으나 무요소법은 요소의 정보를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할 것이다. 앞으로 경계조건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개발된다면 실용적으로 유한요소법을 대신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ead up 되었을 때 3~6dB 정도 높게 나타났다.. 5.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 방어채낚기어장은 한국연안역으로부터 월동장 내지 산란장으로 남하하는 방어어군이 마라도 주변에 나타나는 연안계수와 외양계수(대마난류) 간에 형성되는 수온.염분전선, 섬주변의 소규모 와, 강한조류 및 지형적 특성(불규칙한 해저지형 및 고립도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왕성한 수평 및 연직 혼합 등과 같은 어장학적 호조건에 의해 마라도 주변에 체류하게 되고, 이들 체류어군은 조류방향에 따라 섬의 조상 측에 농밀군을 형성하는 섬의 조상측 어장이다.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각자의 식습관 및 식품 섭취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d with an MR peak in the vicinity of the coercive field. The low-field tunnel-type MR characteristics of thin films deposited on different substrates originates from the behavior of grain boundary properties. 않고 단지 안전 보호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었다. 따라서 서열환경하에서 머리부분의 쾌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작업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안전연구논문집 v.17 신호교차로 교통상충 측정방법의 적용성 평가 하태준;김진현
  2.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신호교차로 교통상충 측정방법의 개발과 평가 도철웅;하태준;김현상
  3. 교차로에서의 교통상충과 사고의 상관성 평가 강승규;박해찬
  4. 대한교통학회지 v.17 no.4 상충기법을 이용한 교차로 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이수범;강인숙
  5.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정 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6. 현대통계학 안상형;이명호(공저)
  7. NCHRP Report 219 Application of Traffic Conflict Analysis at Intersections W.D.Glauz;D.J.Migletz
  8. TRR 630 Critique of the Traffic Conflict Technique J.C.Glennon;W.D.Glauz;M.C.Sharp;B.A.Thorson
  9. Lund Institute of Technology The Devlopment of a Method for Traffic Safety Evaluation Christer Hyden
  10. Special Report 165 Traffic Flow Theory TRB
  11. TRR, 1628 Driver Perception-Brake Response in Stopping Sight Distance Situations DANIEL B. FAMBRO;RODGER J. KOPPA;DALE L. PICHA;KAY - FITZP AT R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