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Sea-eel Conger myriaster Caught from lost Plastic pot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분석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Sea-eels caught by fishing boat and trawl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feeding status and individual growth of sea-eels caught from the lost plastic sea-eel Pot which is estimated at the ghost fishing Average length of sea-eel caught from fishing boat and test fishing was 33.6cm, 48.9cm for trawl and 45.6cm for the lost plastic sea-eel pot, respectively. The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is the same as the fact that sea-eel goes to the offshore from the coastal waters according to the getting growth. Sea-eel rate having empty stomach were 5.0% for fishing boat, 4.2% for trawl and the empty stomach rate of sea-eel was the highest as 87.6% in the lost pot. Sea-eel rate feeding fish as prey were 98.7% for fishing boat, 78.8% for trawl and 63.3% for the lost pot, respectively and other preys were crustacean and cephalopod. Fatness index calculated using weight and length were 1.514 for trawl catches and 1.292 for the lost pot and the difference was 15% between trawl catches and the lost pot. There also was difference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the result of t-test of Covariance Analysis.

Ghost fishing으로 추정되는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섭이 상태와 개체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통발 조업선에 어획된 붕장어와 트롤 그물에 어획된 붕장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어획된 붕장어의 평균 전장은 연안 통발 조업선과 시험 조업에서 어획된 것이 33.6cm, 트롤 그물에 어획된 것이 48.9cm 그리고 수거된 유실 통발에 어획된 것이 45.6cm이었다. 이러한 체장의 분포는 붕장어가 성장하면서 연안에서 외양으로 나간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위내용물 조사에서 먹이를 섭이하지 못해 위내용물이 전혀 없었던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 5.0%, 트롤 4.2% 그리고 유실 통발 87.6%로 유실 통발에서 17~20배 높게 나타났다. 먹이로써 어류를 섭이한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이 98.7%, 트롤이 78.8% 그리고 유실 통발이 63.3%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먹이 생물은 갑각류와 두족류 등이었다. 순체중과 전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비만도는 트롤 어획물이 1.514이고, 유실 통발 어획물이 1.292로서 약 15%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공 분산분석에서 실시한 t검정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위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영태.김광홍.이주희(1977): 장어 통발漁具의 漁獲特性 比較, 漁業技術, 13(2), 15-20.
  2. 張忠植 (1987) : 붕장어의 魚體諸元과 漁具網目과의 관계, 漁業技術 23(4), 184-188.
  3. 염말구 (1991) : 미끼의 종류에 따른 통발어획률의 변화, 漁業技術, 27(4), 232-237.
  4. 김용술 (1993) : 수산자원학, 신흥출판사. 22-23.
  5. 차병렬.백철인.손호선.홍병규.최인옥.장대수.전영렬 (1998): 남해 어업 자원 조사 보고서, 국립수산진흥원, 5-18.
  6. 허성희.곽석남 (1998)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의 식성, 한수지, 31(5). 665-672.
  7. 김민석.김삼곤.김진건.정순범.조현정 (1999) : 남해 동부 해역에 있어서 해양 오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漁業技術 35(4), 386-390.
  8. 鍋島靖信.安部恒之.山本圭吾.大本茂之.東海正 (1995) : マアナゴの資源管理のための漁獲制限분長の設定とマアナゴの適正目合の選定およぴその效果の豫測につぃて, 大阪府立水産試驗場硏究報告, 第9号, 41-55.
  9. 鄭義哲.金三坤.朴倉斗.辛種根.東海正 (1999) : 韓國におけるあなご筒かご水拔き孔のマアナゴ漁獲選擇性, 日水誌 65(4), 642-649.
  10. 望岡典隆 (2001) : マアナゴの初期生態, 日水誌 67(1), 111-112.
  11. 鍋島靖信 (2001) : マアナゴの成長と食性, 日水誌 67(1), 113-114.
  12. 宇藤朋子 (2001): マアナゴの成熟と産卵, 日水誌 67(1), 115-116.
  13. 時村宗春 (2001) : 東シナ海におけるマアナゴ資源, 日水誌 67(1), 125-126.
  14. 朴倉斗 (2001) : 韓國におけるマアナゴ漁獲實態, 日水誌 67(1), 127-128.
  15. 東海正 (2001) : マアナゴ漁業の漁獲特性と資源管理, 日水誌 67(1), 129-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