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sic Study on the Differential Diagnostic System of Laryngeal Diseases using Hierarchical Neural Networks

다단계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후두질환 감별진단 시스템의 개발

  • 전계록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기련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
  • 권순복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
  • 예수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
  • 이승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
  • 왕수건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학교실)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diagnostic classifier of differential laryngeal diseases from acoustic signals acquired in a noisy room. For this Purpose, the voice signals of the vowel /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in a soundproof chamber and got mixed with noise. Then, the acoustic Parameters were analyzed, and hierarchical neural networks were applied to the data classification. The classifier had a structure of five-step hierarchical neural networks. The first neural network classified the group into normal and benign or malign laryngeal disease cases. The second network classified the group into normal or benign laryngeal disease cases The following network distinguished polyp. nodule. Palsy from the benign laryngeal cases. Glottic cancer cases were discriminated into T1, T2. T3, T4 by the fourth and fifth networks All the neural networks were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model which classified non-linear Patterns effectively and learned by an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We chose some acoustic Parameters for classification by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laryngeal diseases and Pilot classification results of those Parameters derived from MDVP. The classifier was tested by using the chosen parameters to find the optimum ones. Then the networks were improved by including such Pre-Processing steps as linear and z-score trans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90% of T1, 100% of T2-4 were correctly distinguished. On the other hand. 88.23% of vocal Polyps, 100% of normal cases. vocal nodules. and vocal cord Paralysis were classified from the data collected in a noisy room.

본 연구에서는 잡음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로부터 후두질환을 감별진단 할 수 있는 분류기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후두질환 환자로부터 수집한 /아/ 모음에 잡음을 혼입하여 음성 신호를 획득하였고, 여러 가지 후두질환을 감별진단 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입력으로 하는 계층적 신경회로망을 구성하여 후두질환을 감별진단 하도록 하였다. 감별진단용 분류기는 다섯 단계의 계층적 신경회로망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신경회로망은 정상 양성 후두질환과 악성 후두질환을. 두 번째 신경회로망은 정상과 양성 후두질환을 감별진단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신경회로망은 양성 후두질환 중 후두용. 성대결절 후두마비를 감별진단 하도록 하였으며.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신경회로망은 성문암 1-4기를 감별진단 하도록 구성하였다. 분류기에 적용된 신경회로망은 다층퍼셉트론 구조로써 역전파 알고리듬으로 학습시켰으며, 선형변환 표준점수변환 등 전처리과정을 적용하여 분류기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후두질환의 감별진단 결과 후두용 88.23%. 정상. 성대결절. 후두마비 100%. 성문암 1기 90%, 성문암 2-4기 100%의 감별진단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23 Vocal shimmer in sustained phonation Y,Horri https://doi.org/10.1044/jshr.2301.202
  2. J. Acoust Soc Am v.71 Harmonic-to-noise ratio as an index of the degree of hoarseness E.Yumoto;W.J.Gould;T.Baer https://doi.org/10.1121/1.387808
  3. J.Acoust.Soc.Am. v.80 no.5 Normalized noise energy as an acoustic measure to evaluate pathologic voice H.Kasuya;S.Ogawa;K.Mashima;S.Ebihara
  4. Proc.ICPhS 95 v.2 Time and Frequency Synthesis Parameters of Severely Pathological voice Qualities Abeer Alwan;Phibert Bangayan;Jody Kreiman;christopher Long
  5. Proc. Eurospeech 97 v.4 Anlaysis of Dysarthric Speech by meas of Formant-To-Area Mapping S.Ciocea;J.Schoentgen;L.Crevier-Buchman
  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v.42 병적 음성의 감별 진단을 위한 음향학적 변수 왕수건;양병곤;조철우;박현민;권순복;김태섭;홍현석
  7. 한국음성과학회지 v.5 no.1 음향신호의 분석에 의한 후두직환의 진단에 관한 연구 조철우;양병곤;왕수건
  8. 한국음성과학회지 v.8 no.2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QRS 장애 음성의 식별에 관한연구 조철루;김광인;김대횬;권순복;김기련;김용주;전계록;왕수건
  9. 대한의료정보학회지 v.6 no.4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후두질환 특징 파라미터 추출 김기련;김용주;권순복;김광인;김대현;양병곤;왕수건;전계록
  10. 음성과 음성치료 Daniel R.Boone
  11. Digital Processing of Speech Signal L.R,Rabiner;R,W,Schafer
  12. 음성 및 언어 분석기기 활용법 고도홍;정옥란(외 16인)
  13. 한국음향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17 no.2 Cepstrum방법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정상, 양성종양, 악성종양 상태의 식별에 관한 연구 조철우;김대현
  14. Neural network design T.H.Martin;B.D.Howard;B.Mark
  15.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Science Data SAS/SPSS PC+ Taik Sup Auh
  16.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은성신호를 이용한 후두질환 감별진단 알고리듬 개발 김기련;김용주;권순복;전계록;왕수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