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디자인학연구)
- Volume 15 Issue 2
- /
- Pages.81-90
- /
- 2002
- /
- 1226-8046(pISSN)
- /
- 2288-2987(eISSN)
A Study on the Relation of Visual Information Character and Design Alternatives
시각적 정보의 특성이 디자인대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bstract
Designer creates new design alternatives using acquisition of visual information in design process. Which is more effectiveness to acquire in directive visual information or in-directive visual information\ulcorner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find out that the relation of character in visual information and design alternatives. So to A subjects, we give them to see directive visual information to make visual mental imagery, to B subjects, we give them to see in-directive visual information to make it. In this experiment they must crate telephone design. C subjects must evaluate this design alternatives by questions composing scale in distinction and elegant. After a experimentation, It is true that we make hypothesis that distinct two subjects in distinction and elegant. Though elegant is opposite with hypothesis. So to make elegant design. it is import to concentrate cognitive ability. Accordingly it proves that in-directive visual information is effective for new type design stage in design process and directive visual information is effective for new style design stage in design process.
디자이너는 디자인과정에서 디자인에 도움이 될만한 시각적 정보를 취득함으로서 이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대안을 창출해내고 있다. 이때 디자인할 제품과 직접적인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세련되고 멋있는 디자인이 될까 아니면 간접적인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목적으로 시각정보의 특성에 따른 디자인대안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A집단에게는 시각정보로서 직접적인 이미지를 제시하여 시각적 심상을 형성하도록 조작하였고 B집단에게는 간접적인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두집단에게 전화기를 디자인하시오 라는 과제를 주었다. 이 두집단에서 행한 디자인은 차별성, 세련성이라는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통해 C집단에 의해 평가되었다. 실험결과 차별성 및 세련성 모두 두 집단간의 통계적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세련성은 통계적 차이는 유의미했지만 연구가설과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 두가지의 실험결과로 기존제품과 차별되는 디자인개발을 위해서는 간접적인 이미지가 효과적이며, 세련된 디자인이 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의 인지적 집중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두 실험을 통해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유형의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이미지가, 새로운 스타일의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이미지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