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o Kleppner의 시각화 모델을 통한 국내 부동산광고의 시각화 분석(신문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중심으로)

A analysis on visualization of advertisements for domestic real estate through Otto Kleppner′s visualization model (Focused on the creative of advertising in newspaper)

  • 박광래 (우송정보대학 정보디자인계열)
  • 발행 : 2002.05.01

초록

Otto Kleppner의 시각화 모델을 통한 국내 부동산광고의 시각화 분석(신문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중심으로) 캡션(caption)없는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설명은 보는 이에 따라 그 해석이 구구하듯이 크리에이티브(creative)에서도 컨셉을 시각화하는 방법에 따라 주목효과도 다르게 나타나고 궁극적으로는 광고의 수용효과도 달라지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광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 광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Otto Kleppner의 시각화 모델을 통한 국내 부동산광고의 시각화분석을 통해 시각화 실태와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부동산광고의 크리에이티브를 수행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As interpretation of descriptive illustrations without caption differs from each viewer, it is deemed that the effect of attention is represented differently and the acceptance level of any advertisements will be ultimate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sualization method of concept in the crea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reality and status of visualization for real estate ads in newspapers via visualization analysis through Otto Kleppner's visualization model and to reasonably and efficiently conduct creative of real estate ads by representing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ased on the surrey. These activities are to more efficiently produce real estate ads, which occupy a relatively important portion in newspaper a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