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Analysis on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o Improve Patient Compliance in Korean

한국인 치료순응도 향상을 위한 개입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김춘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희숙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현숙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에방의학교실) ;
  • 박애화 (이화여자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133 studies related to patient compliance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01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on compliance by using meta-analysis. We collected the existing literatures by using web and manual search 'patient compliance', 'sick role behavior', 'major clinical disease', and 'intervention' as key words and by reviewing content of journals related to medicine, nursing and public health. The compliance interventions were classified by theoretical focus into educational, behavioral, and affective categories within which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further distinguished. The compliance indicators broadly represent five classes of compliance-related assessments: (1) health outcomes (eg, blood pressure and hospitalization), (2) direct indicators (eg, urine and blood tracers and weight change), (3) indirect indicators (eg, pill count and refill records), (4) subjective report (eg, patients' or others' reports), (5) utilization (appointment making and keeping, use of preventive services).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MetaKorea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meta-analysis in Korea. Among the 133 articles, 10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process, and then only 6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finally. The interventions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for all the compliance indicators with the magnitude of common effect size (4.1192) than the non-intervention group in a random effect model. The largest effects were each study for patient of hypertension using health outcome such as blood pressure (0.4679) and diabetes mellitus using direct indicator such as glucose level in blood and urine (0.7753).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c interventions showed clear advantage for improvement of patient compliance compared with non-intervention group.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의 치료순응도 관련 국내연구를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계량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순응도 향상을 위한 개입 효과를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이후 20여년간 치료순응도와 관련된 연구는 133편에 달하였다. 이중 순응도 향상을 위한 실험연구가 11.3%, 단면연구 및 전향적 관찰연구가 88.7%에 해당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주로 순응도 향상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상병 종류는 고혈압이 전체 연구의 24.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타 만성질환, 당뇨병 및 결핵의 순으로 주로 이환기간이 길고 완치가 어려워서 치료순응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질환들이었다. 셋째, 133편 논문의 질적 메타분석과정을 거쳐 선별기준에 부합되는 논문은 10편으로 순응도 측정은 고혈압의 경우 혈압 조절과 같은 건강효과를, 당뇨병의 경우 뇨당, 혈당 저하와 같은 직접적인 지표 측정의 방법을 측정하였고, 이외에도 약속 이행과 환자의 주관적 보고, 약물 복용이행과 같은 객관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한편 개입방법으로는 행동변화를 적용한 1편의 연구 이외에 교육적, 행동적 및 정서적 개입의 방법을 모두 병행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이들 중 6편의 논문에 대하여 순응도 향상에 대한 개입의 통합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개입을 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개입이 이루어진 경우에 치료순응도 향상 효과는 4.1192여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다시 순응도 측정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치료 순응도를 건강결과(혈압)로 측정한 경우 개입으로 인한 유효크기는 0.4679였고, 직접 측정지표(혈당/뇨당)에 의한 경우 개입 후 유효크기는 0.7753으로 나타나 순응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양한 개입활동들이 환자의 치료순응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계량적 메타분석 기준에 부합되는 연구의 논문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으며, 연구에 사용되는 개입방법의 시도가 더욱 다양화될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어 향후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원, 이영진, 윤방부. 한 농촌병원등록 고혈압 환자의 치료중단에 대한 추구 조사. 가정의 186; 7(1): 1-11
  2. 김인숙. 만성요통환자의 지지적 간호가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 김춘배, 한규정, 남정모, 지선하 등. 보건의료 관련 한국문헌의 메타분석 시스템(MetaKorea)개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01
  4. 문정주, 김기순, 김종순. 고혈압환자의 치료지속도에 관한 연구. 가정의 1986; 7(12): 10-21
  5. 박오장. 사회적 지지가 당뇨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이학박사학위논문 1984
  6. 박오장. 가정방문을 통한 개별교육이 당뇨병환자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효과의 지속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0; 20(2): 174-184
  7. 박오장, 홍미순, 장금성, 김지영. 사회적 지지가 고혈압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요법 효과의 지속에 관한 연구 I. 대한간호학회지 1998; 28(1): 159-170 https://doi.org/10.4040/jkan.1998.28.1.159
  8. 송혜향. 의학, 간호학, 사회과학 연구의 메타분석법. 청문각, 초판, 1998
  9. 유원상, 최석구, 이건주, 이광재, 노승현. 고혈압 환자의 순응도에 관한 연구 - 의사 개입의 성과. 대한내과학회잡지 1989; 36(2): 237-240
  10. 이향련.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건강계약이 고혈압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87; 17(3): 204-217
  11. 정은리. 비디오 프로그램을 통한 환자교육이 결핵환자 치료이행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96; 26(3): 697-708
  12. 최남현, 김홍기, 이혜리, 김기순. 고혈압환자의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정의 1991; 12(10) : 1-12
  13. 최부옥, 차영남, 장효순, 김영희. 고혈압자의 환자역활행위 이행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89; 19(1): 5-23
  14. 최영희.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 행위와 환자역활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85; 24(4): 10-20
  15. 최철훈, 송윤미, 오주섭, 변재준. B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자에서 편지를 이용한 추적 검진 권고의 효과. 가정의학회지. 2000; 21(9): 1188-1198
  16. 한성현, 김양호, 이성수. 우리나라 농촌 보건지소에서 고혈압환자의 추구관리 방안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논문집 1987; 10(2): 367-407
  17. Alderman MH, Schoenbaum EE. Hypertension control among employed persons in New York City: 1973-75. MMFQ 1976; Summer: 367-377
  18.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1995 edi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1995
  19. Brownman GP, Levine MN, Mohide EA, Hayward RSA, Pritchard KI, Gafni A, et al. The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cycle: a conceptual tool for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J Clin Oneal 1995; 13: 502-512 https://doi.org/10.1200/JCO.1995.13.2.502
  20.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Y Academic Press, 1977
  21. Engelland AL, Alderman MR, Powell HB. Blood pressure control in private practice: A case report. AJPH 1979; 69(1): 25-29 https://doi.org/10.2105/AJPH.69.1.25
  22. Folsom AR, Luepker RV, Gillum RF, Jacobs DR, Prineas RJ, Taylor HL, Blackburn H .Improvement in hypertension detection and control from 1973-1974 to 1980-1981. JAMA 1983; 250(7): 916-921 https://doi.org/10.1001/jama.250.7.916
  23. Haynes RB, Mattson :ME, Chobanian AV, Dunbar JHM, Engerbretson TO, Garrity TF, Leventhal H, Levine RJ, Levy RL. Management of patient compliance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Hypertension 1982; 4(3): 415-423 https://doi.org/10.1161/01.HYP.4.3.415
  24. jenicek M, Feinstein AR. Epidemiology: The logic of modem medicine (IX. Meta-analysis in Medicine). Montreal, 1995
  25. Joint National Committee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fif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V). Arch Intern Med 1993; 153: 154-183 https://doi.org/10.1001/archinte.153.2.154
  26. Kelly JT, Swartwout JT. Development of practice parameters by physician organizations. QRB 1990; 16(2): 54-57
  27. Lau J, John PA, Christopher HS. Quantitative synthesis in systemic reviews. Ann Intern Med 1997; 127(9): 820-826 https://doi.org/10.7326/0003-4819-127-9-199711010-00008
  28. Lenfant C, Roccella EJ, Trends in hypertension control in the United States. Oiest 1984 ; 86(3): 459-462 https://doi.org/10.1378/chest.86.3.459
  29. Roter DL, Hall JA, Merisca R, Nordstrom B, Cretin D, Svarstad B.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improve patient compliance: A meta-analysis. Med Care 1998; 36(8): 1138-1161 https://doi.org/10.1097/00005650-199808000-00004
  30. Sackett DL. Introduction, in Sackett DL and Haynes RB(eds),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6: 1-6
  31. Stamler J, Stamler R, Riedlinger WF, Algera G, Roberts RH. Hypertension screening of 1 million Americans. JAMA 1976; 235(21): 2299-2306 https://doi.org/10.1001/jama.235.21.2299
  32. Ward GW. Changing trends in control of hypertension. Public Health Reports 1978;93(1): 31-34
  33. Wilber JA. The problem of undetected and untreated hypertension in the community.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1973; 49: 51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