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Food Components during Storage of Oyster Mushroom Kimchi

느타리버섯 김치의 숙성중 식품학적 성분 변화

  • 서권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한서영 (佐賀대학교 응용생물과학과)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20$^{\circ}C$. The pH of raw oyster mushroom Kimchi (ROMK)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cabbage Kimchi (control) at initial stage,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after 1 day of storage. pH of blanched oyster mushroom Kimchi (BOMK)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The titratable acidity of oyster mushroom Kimchi was in inverse state to the pH. Amino acid nitrogen content of Kimchi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the content of ROMK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content of BOMK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Kimchi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the content of ROMK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the content of BOMK was slightly lower. The bacterial number of control increased rapidly at 2 days fermantation and reached plateau afterward. The number of ROMK tended to he alike that of control during storages the number of BOMK was fewer than that of control. On the taste panel of Kimchi after 1 day of storages ROMK obtained higher score than BOMK but the score was lower than control.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 중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김치의 숙성기간에 따른 pH를 측정한 결과 생 느타리버섯 김치는 처음에 대조구인 배추김치보다 높았으나,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값이 배추김치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는 pH의 경우와 반대현상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생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에 비하여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김치의 환원당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는데, 생느타리 버섯 김치의 함량은 배추김치보다 높게 나타났고,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조금 낮게 나타났다. 배추김치의 생균수는 숙성 2일째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는 거의 비슷한 수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김치도 배추김치와 같은 경향이었는데, 그 수는 배추김치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젖산균수의 경우는 생균수 거의 같은 경향이었다. 상온에서 1일간 저장한 느타리버섯 김치의 관능검사결과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에 비하여 생느타리버섯 김치가 좋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배추김치에 비하여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재식, 김태영 (1998)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및 양송이의 유리당과 당알코올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0, 459-462
  2. 차동열 (1995) 느타리버섯 재배기술. 한국균학회지, 81-86
  3. 한대석, 안병학, 신현경 (1992) 환경가스조절 저장방법을 이용한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의 유통기간 연장. 한국식품과학회지, 376-381
  4. 권용주, 엄태봉 (1984) 느타리버섯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3, 175-180
  5. 장효, 권미향, 임왕진, 성하진, 양한철 (1997) 느타리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면역 조절 기능성 다당류. 한국농화학회 춘계학술발표집
  6. 정인창, 박신, 박경숙, 하효철, 김선희, 권용일, 이재성 (1996) 느타리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8, 464-469
  7. 김정우, 김성원, 김병각, 최응칠, 이정옥, 이경림, 김하원 (1985) 한국산 고등균류의 성분연구(제38보) 조개느타리 버섯의 항암성분. 한국균학회지, 13, 11-21
  8. 박무현, 오국용, 이병우 (1998) 표고버섯과 느타리버섯의 항암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0, 702-708
  9. 서권일, 정용진, 심기환 (1996) 김치의 발효중 겨자의 첨가효과.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3, 33-38
  10. A.O.A.C. (1984)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1. Show Hei Tou. (1968) Official Method of Miso Analysis. Institute of Miso Technology, Japan, p.28
  12. 박우포 (1991) 김치 배합재료가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Ha, J.H., Hawer, W.S., Kim, Y.J. and Nam, Y.J. (1989) Changes of free sugar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633-638
  14. 식품성분표 (1991) 농촌진흥청
  15. 조재선 (1991) 김치의 숙성중 미생물의 동태와 성분변화. Korean J. Dietry Culture, 6, 479-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