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추 및 미나리 건조 분말 첨가가 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Leek and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 발행 : 2002.03.01

초록

향신채소인 부추, 미나리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들의 생리활성을 활용한 기능성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해 제조한 국수의 제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추 및 미나리는 열풍건조, 블렌칭 처리후 열풍건조, 찜 후 열풍건조 그리고 동결건조로 나누어 각각 건조후 분말화하였다. 건조분말의 품질평가에서 비타민 C, 클로로필함량,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열풍과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높았고 전자공여능도 높게 나타났다. 국수의 조리 후의 특성에 있어 부추와 미나리분말 첨가국수의 경우 국수 중량 및 부피의 증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율은 작게 나타났다. 조리후 국물의 탁도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조리후의 절단강도는 부추국수의 경우 열풍, 데침 처리 분말국수가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미나리국수의 경우, 찜 건조분말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절단강도는 감소되었다. 분말첨가국수의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분말 및 동결건조분말 첨가국수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2.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5% 첨가구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부추와 미나리의 첨가로 항산화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e exa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leek and dropwort and prepared the noodles with the dried powder of them, to develope functional processing floods which contain biological active compounds. The groups were divided by the drying methods as follows: hot air drying at 50$\^{C}$ (A), hot air drying after blanching for 30 sec (B), hot air drying after steaming for 2 min (C) and freeze drying (D). We had analyzed the content of vitamin C, total chlorophyll, and phenolic compounds and measured the hunter color values of dried powders individually. The contents of evaluated compounds were higher in A and D than in B and C groups and also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A and D was stronger than B and C. The cooking properties of noodles prepared with leek and dropwort powder were examined. After cooking, the weight and volume of noodles prepared with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The turbidity of noodle soup were increased as the adding ratio was increased. The cutting strength of cooked leek noodles with A and B powder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in case of dropwort, cooked noodles with D showed similar to that of control. The cutting strength of cooked noodles were decreased as the adding ratio were increased.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noodles with vegetable powders showed high than that of control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odles with 2.5 ?/e addition groups and control was not recognized but was recognized between noodles with 5% addition groups and the control.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서식 (1991) 한국의 국수문화의 역사. 한국식문화학회지, 6, 85-94
  2. 국제분공업협회 (1993) 밀가루의 용도별 판매량 추이
  3. 통계청 (1993) 광공업 통계조사보고서
  4. 김형수, 이관영, 김성기, 이서래 (1973) 국산원료를 사용한 복합분 및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제 1보. 한국식품과학회지, 5, 6-15
  5. 김형수, 오정석 (1975) 국산원료를 활용한 복합분 및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제 5보. 한국식품과학회지, 7, 187-193
  6. 권태완, 최홍식, 유정희 (1976) 보리-밀 보리-콩 복합분의 제면성 및 제품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8, 236-241
  7. 이상영, 이은영, 심태흠, 오덕환, 강일준, 정차권, 함승시 (1998) 참취즙액 첨가가 메밀국수의 조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7, 501-507
  8. 황인주, 오영주 (1996) 제주특산물을 이용한 향토국수의 개발. 한국조리과학회지, 12, 361-366
  9. 김영수 (1998) 복령분말이 생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화학회지, 41, 539-544
  10. 이영순, 임나영, 이경희 (2000) 칡전분 첨가국수의 제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6, 681-688
  11. 정희돈, 윤선주 (1996) 한국재래종 부추 (Allium Tubersum Rottler)잎의 성분과 맛의 비교. 한국원예학회지, 37, 611-616
  12. 한상정, 高橋泰吉 (1986) 한국산 야생 Allium속 식품의 일종과 재래부추에 관한 연구 II. 핵형성분, 성장 해석 및 성분분석. 한국원예학회지, 27, 1-10
  13. 한국영양학회 (1995) 한국인영양권장량 6판. 중앙문화사 p.248
  14. 한국식물대보감 (1980) 한국자원식물연구소, 제일출판사, p.508
  15. Food Sciences Institute of Inje University (1998) Development of leek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formation of leek-containing food products. Research report supported by Dept. agricultural and fishery, p.6-14
  16. 김선재, 빅근형 (1996)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한국식품과학회지, 28, 604-608
  17. 안령미, 고금숙, 황성희 (1991) 부추(Allium Odorum L.)가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방 성분과 정맥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8, 183-189
  18. 赤松金芳 (1980) 新訂 和漢藥. 醫齒藥出版社, 東京 p.198
  19. 小學官 (1985)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5668
  20. 이상일, 박용수, 조수열 (1993) 미나리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2, 392-397
  21. 서화중, 이명열 (1985) 미나리추출물이 가토의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4, 72-76
  22. 박종철, 유영범, 이종호, 김남재 (1994) 한국산 식용식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VI).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116-119
  23. 박종철, 하정옥, 박건영 (1996) 미나리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아플라톡신 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 588-592
  24.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효일출판사, p.257-258
  25. MacKinney, G. (1941) Asorption of light by chlorophyll solution. J. Biol. Chem., 140, 315-322
  26. Singleton, V.L., Rossi, J.A. (19656)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44-58
  27. Bloi,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11 https://doi.org/10.1038/1811199a0
  28. Edwards, M. M., Izydorczyk N. S., Dexter, J. E. and Biliaderis C.G. (1993) Cooled pasta texture : Comparison of dynamic viscoelastic properties to instrumental assessment of firmness. Cereal Chemistry, 70, 122-126
  29. 김성곤, 김흥래, 방정범 (1996) 알칼리제가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국수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8, 5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