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valuation of Safety on Two-Lane Rural Highways

지방부 2차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석 ((주)청석엔지니어링 도로부)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Purpose of this paper is proposing technical evaluation method for safety on two-lane rural highways, this method can contribute to an establishment of the safety evaluation criteria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highway safety. In this study, accident data and field data(grade, radius, speed factor) are collected and are analyzed. And new technical evaluation method is proposed by problem in review of existent methods and analysis result. Property of new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existent on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1) Proposed technical evaluation method is Proposed by using difference of speed variance and difference of acceleration. 2) In range of field survey, proposed method is more proper than existent one by comparing. 3) Headways under 6 second affect speed of next vehicle. 4) A point with the lowest speed in curve is placed about 35m from the beginning point. 5) Correlation of speed variance and severity of highway(EPDO)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using proposed method, more tests are needed on other locations with various geometries. Moreover, advanced study is needed about classifying and giving the weight of each criter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의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안전성 평가 기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도로 안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는 사고자료와 현장자료(종단경사, 곡선반경. 속도특성)를 수집하고, EXCEL과 SPSS를 이용하여 정리되고 분석되었다. 문헌고찰에서 기존 안전성 평가방법의 문제점과 수집된 자료 분석의 결과를 가지고 새로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전성 평가 방법은 기존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수행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속도분산차,. 차량 진행방향 가속도차, 곡선반경방향 가속도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2)속도 차, 에너지 차.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안전성 평가 방법을 현장 조사된 지점을 대상으로 비교하고, 제시된 방법이 더 적절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3)선행차량에 의해 속도 영향을 받는 차두간격은 6초 이하이다 4)곡선부 내의 최저 속도 위치는 곡선시작점으로부터 약 35m 이다. 5)도로의 위험도(EPDO)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속도특성은 속도분산이다. 그러나 제시된 안전성 평가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기하구조가 다른 많은 지점에 대한 연구로 평가 방법을 재검증하고, 각 기준별 등급과 가중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교총학회지 v.16 no.4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 모형의 개발 최재성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학위 논문 주행속도를 이용한 도로의 평면선형 안전성 평가모형 개발 정준화
  3. 도로 곡선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평면선형 설계 지침 연구 정준화;유수현;윤여환
  4. TRR v.1213 Factors Affecting Speed Variance and Its Influence on Accidents Nicholas J.Garber;Ravi Gadiraju
  5. 서울시립대학 교대학원 공학박사 학위 논문 설계일관성 분석을 통한 도로 선형 설계의 적정성 평가 연구 이점호
  6. FHWA-RD-99-173 Evalution of Design Consistency Methods for Two-Lane Rural Highways.Executive Summary Kay Fitzpatrick(et al.)
  7.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Ruediger Lamm;Basil Parianos;Theodor Mailaender
  8. 제 36회 학술발표회 평면곡선부의 차량속독 및 교통사고 영향분석연구 최재성;이점호; 이동민
  9. FHWA-RD-99-172 Alternative Design Consistency Rating Methods for Two-Lane Rural Highways. Kay Fitzpatrick(et al.)
  10. 한양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 학위논문 4차로 국도 곡선부 주행속도 특성 및 모형 고종대
  11.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12. 통계학 박정수(외 5인)
  13. 통계학 개론 김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