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Volume-Area-Depth Relationship for Shallow Wetland

습지의 체적-면적-깊이에 대한 관계식 추정

  • 김준권 (공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형수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상만 (공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 wetland has very important functions in hydrologic and ecological aspects and the research of wetland functions requires the basic hydrological properties such as water quantity. However, we do not have a research work on the hydrological properties for a wetland study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volume(V), the area(A), and the depth(h) of water in the wetland which might be the basis for the wetland research in Korea. To estimate the relations, we derive the basic equations, obtain the surveyed data and do modelling, and estimate the relations of A-h and V-h using the Surfer program. The estimated and observed volumes for 5-wetland are compared and the errors are in the range of 2 % to 11 % for 4-wetland and 34 % for the rest. The wetlands in small errors showed the similar ones with the profile of the wetted perimeter which is assumed for the derivation of the equation but the wetland of large error has much different profile with the assumed one. We re-estimate the volumes for 3-wetland(W3, W4, W5) which showed the large errors due to the bended profiles of the wetland slopes. say, after the slopes was divided into two parts of upper and lower ones, the volumes were estimated. From our re-estimation, we obtained very good results ranged from 1 % to 8 % in their errors. We conjecture that the procedure suggest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relations of V-A-h in Korea.

습지는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문학적 측면, 즉, 물의 양과 같은 기초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륙성 습지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작은 습지들에 대한 체적(V)-면적(A)-깊이(h)의 관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들 관계를 산정하기 위하여 우선 기본 방정식을 유도하고, 실제 대상습지에 대한 측량자료를 획득하여 모형화 한 후 Surfer프로그램을 이용해 A-h 및 V-h의 관계를 구하였다. 5개의 대상습지에 대해 방정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4개의 습지는 오차가2∼11 %의 범위에 있었고 나머지는 34 %의 오차를 보였다. 작은 오차를 보인 습지는 방정식에서 가정한 단면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큰 오차를 보인 습지는 가정 단면과 아주 상이한 형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습지들 중 경사부분에서 절곡이 나타난 W3, W4, W5와 같은 경우는 체적의 오차비율이 크게 나타났는데 절곡부분을 기준으로 습지의 형상을 상하로 구분하여 체적을 재산정 하였다. 재산정 결과 오타 비율이 1∼8 % 이내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절차는 차후 우리나라 습지에 대한 V-A-h의 관계를 산정 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영, 윤성윤, 이기철, 김귀곤, 배덕효, 김형수, 경남발전연구원(2000). 습지학원론, 은혜기획
  2. 충청남도(1999). 충남통계연보
  3. Golden Software(1999). SUFER for Windows user's Guide
  4. Hayashi. M and Kamp. G.V.(2000). 'Simple equations to represent the volume-area-depth relations of shallow wetlands in small topographic depressions', Journal of Hydrology, 237, pp.74-85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300-0
  5. Bengtsson, L. and Malm, J.(1997). 'Using rainfall-runoff modeling to interpret lake level data', Jouranl of Paleolimnology, 18, pp.235-248 https://doi.org/10.1023/A:1007982710792
  6. Bras, R.L.(1990) Hydrology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 science.Addison-Wisley Publishing company, pp.584-586
  7. Gates, D.J. and Diessendorf, M.(1977). 'On the fluctuations in levels of closed lakes', Journal of Hydrology, 33, pp.267-285 https://doi.org/10.1016/0022-1694(77)90039-7
  8. O'Connor, D.J.(1989). 'easonal and long-term variations of dissolved solids in lakes and reservori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15, pp.1213-1234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89)115:6(1213)
  9. Smith, R.D., Ammann, A., Bartoldus, C. and Brinson, M.M.(1995). A Hydrogeomor-phic Classification, Reference Wetlands, and Functional indices, Report WRP-DE-9, 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Environmental Laboratory, Wethlands Research Program Technical Report WRPDE-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