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aches and Issues on the Research about Community Based on Residential Area

지역공동체에 관한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 채혜원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idential area and to review the issues on the research of community in related discipline area. The discourse about community has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reg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e, housing studies, and research results by NGO. These studies of community has been dealt with social interaction and norm as well as the physical aspects of community. The research on community has been studied with the approach of structure and functionalist, systems theory approach, conflict theory approach, ecological approach, microsociological approach, and social construction approach.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not integrated together, but recognized community in a social or personal context. The social construction approach among these approaches suggest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community in the point of view that social cond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autonomic individual. Understanding of community will influence to establishing a community norm, to planning a communal space, and to developing strategies of community. And it also takes a Important role t\ulcorner change the housing policy, institution and life style.

Keywords

References

  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강대기
  2.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 정비연구 계기석;천현숙
  3.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공동주택연구회
  4.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도시공동사회의 형성과 발전방향 연구 권순복
  5. 더불어 사는 주거 만들기 공동생활 소에서 내구재 재사용 권오정
  6. 대한가정학회지 v.39 no.8 새천년의 주민복지를 위한 커뮤니티 센터의 활동프로그램 제안 권오정;곽인숙;이경희;최재순
  7. 지역사회개발연구 v.23 no.2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김경준;김성수
  8. 지역사회개발학술지 v.10 지역공동체와 사회자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남선;김만희
  9. 지역사회개발학개론 김남선
  10. 지역사회개발연구 v.20 no.1 아파트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형성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김남선;우룡
  1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단위 아파트지역의 이윳관계에 관한 연구 김동우
  12. 근린관계와 공동체;집합주거와 사회환경 김정선;박순진
  13. 주택핸드북 대한주택공사
  14. 주택통계편람 대한주택공사
  15. 지역사회개발연구 v.22 no.2 아파트 지역 사회이ㅡ 공동체 활성화 방안;평택지역의 실험연구 민창기
  16.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지역사회운동을 통한 공동체의식 형성 방안 박서호
  17. 도시연구 v.6 공유공간과 공동체-아파트공동체 실현을 위한 공동생활공간 확대방안 박철수
  18. 새천년연구보고서Ⅱ 뉴 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 모델 개발 새천년준비위원회
  19. 민주공동체 시민운동의 이론과 실제 세계화 전략을오서의 공동체 재건 송복
  20. 도시연구 v.6 도시 공동체 운동의 현황과 전망 신명호
  21. 도시연구 v.6 아파트 공동체 운동 심현천
  22. 지역사회개발학술지 v.5 개인의 의지와 지역공동체의식간의 관계분석 우룡
  23. 주택연구 v.8 no.1 주거관리의 사회적 구축을 위한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유병선;홍형옥
  24.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동주택 생활관리 만족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은난순
  25. 한국주거학회지 v.7 no.1 공동주택 생활관리 인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은난순;홍형옥
  26. 여성과 거주환경;시민의 도시 이경희
  27. 더불어 사는 주거 만들기 공동주택의 공유공간;무엇이 문제인가 이경희
  28. 대한가정학회지 v.38 no.2 공동주택 개발에 있어서 서구의 협동주택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경희
  29. 국토계획 v.29 no.4 주거단지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배치계획 연구 이규인;이재준;황경희
  30. 도시와 빈곤 v.41 군포환경자치시민회의 뿌리 내리기 이대수
  31.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도시 가족의 주거생활 유형에 관한 연구;유형화와 주거조절행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연복
  32.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학술대회집 공동체 생활문화 육성을 위한 한국의 미래주택개발 방향;21세기 공동체 생활문화 육성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이연숙
  33. 도시와 빈곤 v.41 주민운동의 이론과 실제 이호
  34. 도시와 빈곤 v.41 안양시민대학의 지역교육운동 임재연
  35. 지역사회개발연구 v.23 no.2 주민참여형 근린개발과 도시근린공동체 전경구
  36. 도시와 빈곤 v.41 ‘녹색삶을 위한 여성들의 모임’의 지역조직활동 정외영
  37. 지역사회개발학술지 v.3 주민공동체 육성을 위한 면단위 복지회관의 역할 조흥식
  38. 도시와 빈곤 v.45 주민자치센터와 민관파트너쉽의 정착 주성수
  39. 한국도시연구소 연례 심포지움 자료집 도시공동체의 복원을 위한 아파트 주민운동;문화,환경 그리고 도시 “새 밀레니엄을 위한 도시담론과 정책” 최병두
  40. 주민환경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최병두;이근행
  41. 지방행정연구 v.13 no.1 도시지역 주거공동체의 이론적 성격과 공동체 행정을 위한 제도적 방안 최재송
  42. 한국지역사회개발협회 주민공동체와 지역사회개발;제3회 지역사회개발 학술발표대회 주제 발표집 최재원
  43. 한국사회학 v.20 한국사회.공동체.공동체이념 최협
  44. 한국의 사회와 문화Ⅲ 한국인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한상복
  45. 도시에서 지역환경공동체만들기 조사연구 한국도시연구소
  46. 한국주거사 홍형옥
  47. 주거와 삶의 질, 삶의 질과 환경디자인-개인·가족·사회를 위한 환경디자인 홍형옥
  48. 건강한 삶의 질 모색을 위한 과제;21세기의 환경과 도시 홍형옥
  49. 공동주택의 생활관리가 왜 중요할까, 더불어 사는 주거 만들기 홍형옥
  50. 여성학연구 v.7 no.1 대도시 정주권 주민생활공동체의 발전 전략(1);부산지역 아파트 단지 공동생활권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황한식
  51.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61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Nasar, J.L;Julian, D.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1
  52. Family, Housing, ans Society Morris, E.;Winter, M.
  53.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29 no.1 Sense of community referred to the whole town;Its relations with neighboring,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and area of residence Prezzo, M.;Amici, M.;Roberti, T.;Tedeschi, G. https://doi.org/10.1002/1520-6629(200101)29:1<29::AID-JCOP3>3.0.CO;2-C
  54.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