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신체 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Isolated Proteinuria on School Urinary Mass Screening

  • 김철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한혜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이병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 박영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 Kim Cheol-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Hahn HyeWon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Byung-Sun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Park Young Seo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2.04.01

초록

목 적 : 학교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단독 단백뇨를 가진 학생들의 정밀검사와 추적 관찰 결과를 분석하여 단독 단백뇨의 원인을 규명하고 향후 치료와 추적관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학교 신체검사에서 발견된 단백뇨를 주소로 서울 아산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학생 중 단독 단백뇨로 진단받은 초, 중, 고등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곁 과 : 114명의 대상 학생들의 단백뇨 정량에서 일시적 단백뇨가 36례($32\%$), 기립성 단백뇨가 74례($65\%$), 지속성 단백뇨가 4례($3\%$)였다. 기립성 단백뇨군에서는 주간 단백뇨 $319.2{\pm}189.1\;mg/dL$, 야간 단백뇨 $56.5{\pm}56.1\;mg/dL$였고, 지속성 단백뇨에서는 주간단백뇨 $1140.0{\pm}540.5\;mg/dL$, 야간 단백뇨 $289.0{\pm}58\;mg/dL$였다. 모든 대상 학생들에게서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알부민, 혈청 보체 수치가 정상 범위였다. 추적 관찰결과 기립성 단백뇨군 74례 중 44례가 6개월에 추적 관찰 되었다. 이중 14례는 단백뇨가 소실되어 더 이상 추적 관찰하지 않았고, 28례는 기립성 단백뇨 소견이 지속되었다. 이중 13례가 18개월에 추적 되었으며 12례는 계속 기립성 단백뇨로 분류되었고 1례가 지속성 단백뇨 소견을 보였으나, 30개월 추적에서는 다시 기립성 단백뇨 소견을 보였다. 6개월 추적에서 2례에서 지속성 단백뇨의 소견을 보였고, 이중 1례는 30개월 까지 단백뇨가 지속되어 신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곁과는 정상이었다. 지속성 단백뇨를 보인 4례 중 2례가 30개월에 추적 관찰되었고, 1례는 기립성 단백뇨 소견을 보였으나 1례는 지속성 단백뇨 소견을 보여 신장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 검사 결과 국소 분절성 사구체 신염(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 학교 신체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대부분은 일시적인 단백뇨이거나 기립성 단백뇨이기 때문에 초기 검진시 과다한 검사는 불필요하며 정량적인 단백뇨 검사의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urinary mass screening program in school aged population has been performed since 1981, but the consensus on the follow-up schedule and the management of isolated proteinuria has not been reached ye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isolated proteinuria and to propose a guideline for the treatment and follow-up afterward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14 cases of isolated proteinuria det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urinary mass screening and evaluated at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of A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0 to July 2001 have been reviewed. Results: The classification of isolated proteinuria was as follows. Transient proteinuria $32\%$, orthostatic proteinuria $65\%$, persistent proteinuria $3\%$, In orthostatic proteinuria group, daytime and nighttime proteinuria were $319.2{\pm}189.1\;mg/dL$ and $56.5{\pm}56.1\;mg/dL$. In persistent proteinuria group, daytime and nighttime proteinuria were $1140{\pm}540.5\;mg/dL$ and $289{\pm}58\;mg/dL$. After 30 month follow-up, 2 cases of persistent proteinuria were needed renal biopsy and 1 case revealed focal segmental glomerular sclerosis. In all cases, serum creatinine, albumin and complements levels were normal. In the orthostatic proteinuria group, no significant renal diseases were detected. Conclusion: Since most of the isolated proteinuria detected through the school urinary mass screening were orthostatic proteinuria or transient proteinuria, initially aggressive diagnostic method such as renal biopsy is not needed and regular follow- up with quantitation of proteinuria is warranted.(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2 ; 6 61-7)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