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rative Treatment of the Displaced Bucket Handle Tear of the Medial Meniscus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수술적 치료

  • Hahn Su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Yang Bo-Ky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Yi Seung-Rim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Chung Shun-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Lee Do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Kim Mi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한성호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양보규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이승림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정선욱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이동호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김민석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result of repair and resection in displaced bucket handle medial meniscal tea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Sep. 1998 to Dec. 2001, we experienced 46 cases, 45 patients. We classified them into repair group (group I, 23 cases) and resection group (group II, 23 cases). We analyzed the time interval between injury and operation, zone of tear, the status of reduction and quality of displaced fragment of all cases. Average follow-up period is 29, 28 months, respectively. We evaluated the final results of both groups as Lysholm knee score, radiologic changes and 2nd look arthroscopy. Results : Mean age was 25 years old in both group, respectively. Mean interval between injury and surgical treatment was 12 and 17 weeks. respectively. In group I, 6 of 7 cases were evaluated as clinical success in red-red zone, 12 of 15 cases were assessed as clinical success in red-white zonal tear, stable reduction. Another case which is evaluated as clinical failure showed red-white zonal tear, unstable reduction and poor quality meniscal fragment. 5 cases showed variant degrees of tibio-femoral compartment symptom. In group II, red-white zone (9 cases) and white-white zone (14 cases) were treated as resection and got good results. Conclusion : Considering zone of tear, reducibility and quality of meniscal fragment before treatment will improve the success rate of meniscal repair.

목적 : 본 연구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방법으로 절제술 및 봉합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두 군의 임상 결과를 통하여 치료 결과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1년 8월까지 본병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로 관절경 수술을 받은 45명 4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위되어 대퇴과 절흔에 감입된 연골 단편을 봉합한 23예를 I 군, 절제한 23예를 II 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전방십자인대 파열 동반 유무, 파열의 부위, 전위된 연골의 정복 정도 및 보존 상태를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I 군이 29개월, II 군이 28개월이었고, 최종 추시시의 평가는 Lysholm knee score측정, 방사선학적 변화 및 추시 관절경을 실시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I 군과 II 군이 각각 25세였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I 군이 평균 12주, II 군이 17주였다. I 군의 경우 red-red 구획에서 파열을 보인 7예 중 6예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red-white 구획에서는 전위된 연골이 안정적으로 정복되었던 15예 중 12예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 3예 중 1예는 새로운 종주 파열이 관찰되었으며, 봉합술 당시 연골 단편은 불량이었고, 2예는 대퇴 경골 구획 증상이 있어 실패 판정하였으며, 불완전 정복된 1예에서 재 파열이 관찰되어 실패 판정을 하였다. II 군의 경우 red-white 구획에서 파열을 보인 9예와 white-white구획에서 파열된 14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을 시행하여 전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에서 파열 부위, 연골 단편의 정복정도 및 보존상태를 고려하여 봉합술 및 절제술을 결정하는 것이 봉합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