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교정치료의 목표는 좋은 안모 균형과 치열의 안정을 얻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부정교합의 다양한 원인에 상응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의 측모두부규격 방사선학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성인 정상교합자 140명(남 70명, 여 70명)과 성인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 120명(남 60명, 여 60명)의 측모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골격 및 치아, 연조직 59개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직적 거리 계측치 및 고경 비율은 골격 분석에서는 정상교합군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연조직 분석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2. 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하악골 길이는 더 작았으며 더 후방에 위치하였다. 3. 상악골의 길이와 전후방적 위치는 II급 부정교합군과 정상교합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코, 상순, 상악 연조직 부위의 전후방적 위치와 Nasolabial angle은 정상교합군과 II급 부정교합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하악 연조직의 전후방적 위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5. 상하악 전치의 수직적 길이(U1-HP, L1-MP)는 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컸으며 제1대구치에서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6.상순에 대한 상악전치의 노출도(U1-Stms), 상악전치의 치축 각도(U1-HP)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하악전치의 치축 각도(IMPA)는 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컸다. 7. II급 부정 교합군의 안모 유형 분류에서, 상악골은 정상 위치 하고 하악골이 후방 위치하는 경우가 43.3%로 가장 많았으며, 상악골과 하악골이 모두 정상 위치하는 경우가 28.3%, 상악골과 하악골이 모두 후방 위치하는 경우는 20.0%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horizontal and vert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ateral cephalometry of adult Korean skeletal Class II patients using a selected horizontal and vortical reference planes of Koreans. 60 males and 60 females consisting of freshman of Yonsei University from 1996 to 1997 and patients with history of orthognatic surgery at the Dental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with a skeletal Class II profile were chosen and compared with 70 males and 70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The skeletal Class R group had the following conditions : 1. Profile composed of a retrognathic mandible or protrusive maxilla; 2. Class II molar and canine key; 3. ANB-greater than $4^{\circ}; 4$. Wits appraisal-greater than 1.0mm; Cephalometric analysis consisted of 22 skeletal, 25 soft tissue, 12 dental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considerable vortical measurement difference between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group and the normal occlusion group in skeletal analysis. But, some vari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oft tissue analysis. 2. Mandibular length of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Mandible was more posteriorly positioned in the Class II malocclusion group than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3. The length and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xilla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Class II malocclusion and the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nose, upper lip and maxillary soft tissue, and nasolabial angl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5. Mandibular soft tissue of the Class H malocclusion group was more posteriorly positioned than that of the normal. 6. The vertical measurements of the incisors(U1-HP, L1-HP) were bigger in the Class II malocclusion group than in the normal, but those of the molars(U6-HP, U6-M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7 Classifying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group according to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both jaws, normally positioned maxilla and retruded mandible was 43.3%, both normally positioned maxilla and mandible 28.3%, both retruded maxilla and mandible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