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정중 과잉치 증례 중 선천 결손치 발생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MESIODENS CASES

  • 권민석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Kwon, Min-Se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11.30

초록

소아치과 임상에서 정중 과잉치는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치아의 발육이상이다. 그런데, 이와 더불어 인접 치아가 선천 결손된 경우에는 배열상에 국소적으로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처럼 동일 개체에서 과잉치와 선천 결손이 동시에 나타난 경우를 'hypo-hyperodontia' 또는 'oligo-pleiodontia'라고 부른다. 발생학적으로는 반대 현상인 이 두 가지 치아이상이 병발된 증례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소수의 증례보고가 발표된 바 있다. 본 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를 가지고 있는 환아 중에서 치아의 선천 결손이 나타난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치아의 선천 결손에 관한 기존의 역학 자료와 비교해 보았다. 지난 3년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과잉치 발거를 주소로 내원한 $5{\sim}12$세 아동 310명 (남아 247명, 여아 6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파노라마사진을 통하여 제 3대구치를 제외한 선천 결손치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중 과잉치를 가진 증례 중 치아의 선천 결손 발생빈도는, 남자 247명중 39명(15.8%), 여자 63명중 14명(22.2%)으로, 전체적으로는 310명중 53명(17.1%)이었다. 2. 치아별 선천 결손의 분포는 상악 측절치와 하악 제 2소구치에서 각각 22.7%, 상악 제 2소구치 17.3%, 하악 측절치 16.0%로 나타났다. 상하악의 분포는 상악에서 49.3%, 하악에서 50.7%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없었다. 3. 결손치의 갯수는 1개인 경우가 67.9%, 2개인 경우가 22.7%, 3개인 경우가 9.4%로 나타났다.

Mesiodens is developmental tooth anomaly which is commonly found in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however, it may cause many partial problem in tooth alignment when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accompanied by mesiodens. The terms, concomitant hypodontia and hyperdontia' and oligo-pleiodontia' have been used to describe the condition in witch developmental absence of teeth and supernumerary teeth are present in the same individual. Only a few case reports of this rare condition which is opposite developmental phenomena exist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rvey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mesiodens case and to compare previous literatur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normal. The subjects were 310 children(247 male and 63 female) at the age from 5 to 12 years visiting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mesiodens for last 3 years. With their pantomograms we studied congenitally missing teeth except permanent 3rd molar. 1. The preferenc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mesiodens cases was revealed to be 17.1%(53 out of 310 in total), and there was a higher prevalence in females(22.2%) than in males(15.8%). 2. The most frequently missing teeth were maxillary lateral incisors(22.7%)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s(22.7%), followed by maxillary second premolar(17.3%),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s(16.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xilla(49.3%) and mandible(50.7%). 3. In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per person, 69.9% had one missing tooth, 22.7% had two missing teeth and 9.4% had three missing tee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