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S

컴포머의 재석회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Chung, Hoi-M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Yong-K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won, Soon-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정회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용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권순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and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 with those of glass ionomer cement and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Z-100^{(R)}$) was used for negative control group(Group I), glass ionomer(Fuji II $LC^{(R)}$) for positive control group(Group IV), compomer(Dyract $AP^{(R)}$ and $F-2000^{(R)}$) for experimental group(Group II and Group III).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Glass ionomer showed the higher amount of fluoride release than compomer groups. Composite resin showed no fluoride release during test period. 2. Significant evidence of remineralization could be noticed in samples of all groups. The highest degree of remineralization was observed in glass ionomer group followed by compomer group. The least evidence of remineralization was observed in composite resin group. 3. Microhardness values of carious site was lower than control site, but Microhardness values of caries site at form away from filling materials in group II, III, I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area.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mpomer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very attractive restorative materials in the field of pediatric dentistry.

소아치과 임상에서 심미수복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포머의 불소 유리양상과 수복물 인접 우식법랑질에 대한 재석회화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복합 레진인 Z-100을 I 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와 F-2000을 II군과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량의 측정을 위하여 각 군에 따라 동일한 디스크를 제작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1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또한 협면이 건전한 우전치를 대상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시킨 후 각 군별로 수복물을 충전한 다음 가철성 장치에 이를 부착하여 구강 내에서 2주간 유지시킴으로써 수복물 주위 우식법랑질에 대한 각 수복재의 재석회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I군은 불소 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p<0.05), III군이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p<0.05). 편광 현미경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가 거의 소실되거나 흔적만 남아있는 양상이 다수 관찰되어 각 군 공히 상당한 재석회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I군과는 달리 II, III, IV 군에서는 수복물의 변연부에 Inhibition zone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II, III, IV 군으로 갈수록 재석회가 충실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우식부위가 대조부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II, III, IV 군의 경우 수복물 인접부의 미세경도치는 대조부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수복물 변연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