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Herbs in Vegetable Part, Pen-tsao-kang-mu(Bon-cho-kang-mok)

본초강목(本草綱目) 채부(菜部)에 수재된 본초(本草)의 분류(分類)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Pen-tsao-kang-mu(Bon-cho-kang-mok), chinese medicinal plant book, was written by Lee sijin(1578), China.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58 articles of vegetable part in Pen-tsao-kang-mu. Among them only 139 articles were able to be identified by authority of several references. By Engler's system they were classified into 8 divisions, 10 classes, 6 subclasses, 31 orders, 22 suborders, 52 families, 85 genera, 99 species, 12 varieties and 2 forma, and were confirmed 113 kinds of original plants. Among the divisions, Angiospermae was the most numerous division with 92 kinds(80.70%) and the second division was Fungi with 12 kinds(10.53%). The next was Rhodophyta with 4(3.51%) kinds. Other 19 articles were unable to be classified because of their ambiguous name.

수입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한 논란으로 야기된 사회문제 해결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초강목에 수록된 약재의 기원식물을 찾아 Engler 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1. 본 연구의 자료는 본초강목에서 식물성 약재를 다루고 있는 초부, 곡부, 채부, 과부, 목부 중에서 채부에 수재된 약재 158 품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채부에 수재된 158 품목 중 기원식물을 확인한 것은 139 품목으로 이를 Engler 분류체계로 정리한 결과, 8문 10강 6아강 31목 22아목 52과 85속 99종 12변종 2품종 총 113 종류의 식물로 기록되었다. 3. 113 종류의 식물을 문별로 비교해 보면 피자식물문이 전체의 80.70 %(92종류), 균문이 10.53 %(12종류) 홍조식물문이 3.51 %(4종류), 양치식물문이 1.75%(2종류)였으며, 남조식물문, 녹조식물문, 지의식물문, 나자식물문이 각각 0.88 %(1종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채부에 수재된 158 품목 중 19 품목은 그 기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 5. 동의보감 탕액편과 방약합편에서 다루는 약재의 품목과 기원식물의 학명을 비교하여 표4에 정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ensky D, Gamble A (1992)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 medica. Materia medica. Eastland Press. Inc
  2. Melchior H(1964) A. Engler '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2. Band. Gebruder Bomtraeger Berlin-Nikolassee
  3. Melchior H, Werdermann E(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 -familien. 1. Band. Gebruder Bomtraeger BerlinNikolassee
  4. Xie Zf, Huang Xk(1984) Diction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 Commercial Press. LTD. Hong Kong
  5. 강병화, 심상인(1997) 한국자원식물명총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6. 박상희, 염정록, 장일무(1991a) 韓中日의 公定書(藥典및 規格集)에 收載된 傳統天然藥物의 品質에 관한 調查(1)-趣源에 관한 分類學的 檢討-생약학회지 2(3) : 112-123
  7. 박상희, 염정록, 장일무(1991b) 韓中日의 公定書(藥典및 規格集)에 收載된 傳統天然藥物의 品質에 관한 調查(ll) , 大韓藥典 및 大韓藥典外漢藥(生藥) 規格集의 權認試驗法에 대한 檢討. 생약학회지 22(2) : 124-127
  8. 박순경(1998) 방약합편에 수록된 본초의 분류. 경성대학교
  9. 서강태(1997) 동의보감 탕액편에 수록된 본초의 분류. 경성대학교
  10. 安醫洙, 李春寧, 朴壽現(1982) 韓鷗斷辨雌輪端鑑. 一潮閣
  11. 柳昇兆(1992) 流重生藥(漢藥)의 起原에 관하여. 생약학호지 23(3) : 171-179
  12. 陸昌洙, 文永熙, 李京淳(1984)韓國本草學. 裂丑文化社
  13. 陸昌流(1989)原色韓國藥用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14. 李愚喆(1996)韓國植物名考. 아카데미서적
  15. 이창복(1980)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6. 李時珍(1981)重訂本草綱目 (上下).文化圖書公司
  17. 鄭普燮, 辛民敎(1990)圖解鄕藥(生藥)大事典 [植物篇]. 永洙社
  18. 지형준, 이상인(1989)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주해서. 한국메디칼인덱스사
  19. 韓大錫, 韓德龍 劉承兆, 白完淑(1996)韓國·中國·日本의 生藥比較硏究. 사단법인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20. 灌田 衛 緖方 健, 新田あや, 星川淸, 柳 宗民, 山畸耕字(1989)世界有用植物事典. 平凡社
  21. 難液恒蝶(1980)原色和漢藥百科圖鑑(上下).保育社
  22. 大村重光(1983)中國 日本藥用植物 生藥. 廣川書店
  23. 北川勳, 三川 潮, 庄司順三, 瀧戶道資, 友田正司, 西岡五未(1980)生藥學. 廣川書店
  24. 梁田桂太(1981)資源植物事典 北隆誇
  25. 赤松金芳(1980)新訂和漢藥. 齒藥出版洙式會社
  26. 凌一鷺, 顔正華(1998)中藥本草學. 保健新聞社出版局
  27. 上海科學技術出版社小學館(1985) 中藥大辭典(1-4, 別卷). 凸版卽刷株式會社
  28. 中國衞生部葯典委員會(1977) 中國葯典, 中草葯免及其製品. 人民衛生出版社.
  29. 漢方醫學大辭典編集委員會(1983)漢方醫學大辭典 1 藥物編. 人民衛生出版社
  30. 辯振乾(1992). 中韓植物名稱辭典. 科學出版社.
  31. 中國本草圖錄編寫委員會(1991) 中國本草圖錄 全11卷. 商務印書館(香港)有限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