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 : 치료 반응 및 기도삽관의 결정인자

COPD Patients with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 Response to Therapy and Determinant of Intubation

  • 송소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치홍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ong, So-Hy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Chi-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1.04.30

초록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에서 기계호흡 및 약물치료 등에 대한 반응과 치료경과 및 기계호흡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으로 본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하였던 환자를 내과치료군과 기도삽관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정 및 동맥혈가스소견 등의 검사소견을 비교하고, 호흡부전의 회복시기 및 경과, 기계호흡을 결정하는 인자, 기도삽관 시점, 그리고 기도삽관 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의 횟수는 132회였고, 기도삽관을 하였던 경우는 49회(37%)였고 내과적 치료에 반응을 보인 경우는 83회(63%)였다. 기도삽관군은 내과치료군에 비해 백혈구수치, BUN 및 APACHE II 점수가 높아서 질환의 중증도가 심하였고, 호흡성산혈증 및 고탄산혈증이 심하였다. pH가 7.2이하일때 기도삽관율은 87%로 매우 높았고, 기도삽관하기까지의 시간도 $2{\pm}3$시간으로 매우 짧았으며, pH 7.31-7.35일때 기도삽관율은 20%로 낮았고 기도삽관하기까지의 기간은 $97{\pm}121$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내과치료군에서 83%가 3일이내에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에서 회복되었다. 기계호흡군은 내원하여 24시간내에 75%에서 기도삽관이 시행되었다. 기도삽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중 호흡성산혈증이 중요하며, 기도삽관전의 pH 평균의 범위는 7.04에서 7.24로서 pH 7.24를 기점으로 기도삽관이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에서 병의 중증도가 심하고, 호흡성 산혈증의 정도 및 고탄산혈증의 정도가 심할 때 기계호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그중 pH 7.24 이하의 산혈증이 특히 기도삽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점이라 생각되었다. 그리고 고탄산혈증성 호흡부전의 치료에 대한 반응 및 회복시기에 대한 정보가 앞으로 치료에 대한 지침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determinants of intubation and the response to therapy in COPD patients with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a review of 132 episodes of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PaCO_2\;{\geq}\;50\;mmHg$ and $pH\;{\leq}\;7.35$). The time frame for resolution or the time to intubation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between 1996 and 1999 was analyzed. Results : Out of 132 hypercapnic episodes, 49(37%) required intubation. A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83 cases that responded to treatment. Patients requiring intubation had a greater severity of illness, which included a higher APACHE II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score ($20{\pm}5$ vs $14{\pm}4$ ; p<0.01), a higher WBC, a higher serum BUN, and greater acidosis (pH, $7.23{\pm}0.11$ vs $7.32{\pm}0.04$ ; p<0.01). Those with the most severe acidosis(pH<7.20) had the highest intubation rate(87%) and shortest time to intubation($2{\pm}3\;h$). Conversely, those with an initial pH 7.31 to 7.35 were less likely to be intubated(20%), and had a longer time to intubation($97{\pm}121\;h$). The patients with a pH 7.21 to 7.25($4.1{\pm}2.9$ day) required longer period of time to respond to medical treatment than patients with a pH of 7.31 to 7.35($2.2{\pm}3.1$ day). Of those patients requiring intubation, half(55%) were intubated within 8 h of admission, and most (75%) within 24 h. Of those patients responding to treatment medical therapy, half(52%) recovered within 24 h and most (78%) recovered within 48 h. Conclusion: Respiratory acidosis at the initial presenta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of intubation. This should assist in deciding help with the decision whether to treat patients medically, institute noninvasive ventilation, or proceed to intub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