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Trophic State of Large Reservoir for Agriculture in Kum River Basin Using Remote Sensing

원격탐사를 이용한 금강수계 대형 농업용 저수지의 영양상태 평가

  • 김태근 (청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Satellite remote sensing, with its synoptic coverage, is used to evaluate the trophic state of large reservoir for agriculture in Kum River basin. The prediction model for chlorophyll-${\alpha}$ which was derived from Daecheong reservoir was applied to four LANDSAT TM imageries to generate a distribution map of trophic state. The chlorophyll-${\alpha}$ model was found to be reasonably reliable predictors for average trophic state value of reservoir. LANDSAT TM imagery data appears to have great utility in assessing trophic state of reservoir.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법으로 금강수계에 위치한 대형 농업용 저수지에 대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대청호에서 유도되었던 클로로필 ${\alpha}$ 농도 추정모델을 4개의 LANDSAT TM 영상에 적용하여 저수지의 영양상태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클로로필 ${\alpha}$ 추정모델의 산정결과는 저수지의 실제 평균 영양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나 LANDSAT TM 영상자료는 저수지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