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al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통계적 차별

  • Received : 2001.10.20
  • Accepted : 2001.11.30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Seoul/Kyungki-born workers have higher wages than other regions-born worker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is difference is due to taste or statistical discrimination, an econometric model is suggested and a test is done with it. According to the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difference is wholly due to taste discrimination is rejected: a part of the difference is due to statistical discrimination. Since statistical discrimination in this paper comes out in the process of a worker's wage being determined according to his productivity, it is no problem for the government to intervene in.

지방 출신은 서울/경기 출신에 비해 임금이 낮다. 이 차이가 기호적 차별에 기인하는지 또는 통계적 차별에 기인하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임금격차에 대한 계량경제학적 모형을 제시했으며 그것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출신지역간 임금격차가 온전히 기호적 차별에 기인한다는 가설은 한계적으로 기각되었다. 즉 이 격차의 일부는 통계적 차별에 기인한다. 본고의 통계적 차별은 임금이 생산성에 따라 결정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정부가 개입할 필요가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