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기저동맥 체간부에 발생한 뇌동맥류 결찰술 - 증례보고 -

Clipping of Basilar Trunk Aneurysm - Case Report -

  • 양태기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철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안병조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Yang, Tai-Ki (Department of Neuro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Chul-Jin (Department of Neuro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hn, Byung-Jo (Department of Neuro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01.05.10
  • 심사 : 2001.09.14
  • 발행 : 2001.12.31

초록

뇌기저동맥 체간부에 존재하는 동맥류는 매우 희귀하며 그 수술적 치료는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근접해있는 중요한 신경혈관 구조때문에 수술적 접근이 매우 어려운 부위이다. 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발달은 두개저 병변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하였고 두개저 부위의 수술적 접근에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하였다. 뇌기저동맥 체간부에 존재하는 동맥류의 수술 방법중의 하나로 저자들은 소뇌와 측두엽의 견인이 적어 소뇌 부종을 극소화 할 수 있고 와우, 미로, 안면신경등의 구조물을 보존하여 청력손실, 안면신경마비등의 합병증이 없고 횡정맥동, S상정맥동의 보존뿐만 아니라 Labbe's 정맥을 보존할 수 있으며 수술시야가 비교적 좋은 장점들이 있는 후미로 전S상정맥동 경천막을 통한 추체로접근법을 이용하여 뇌기저동맥 체간부에 발생한 동맥류의 직접 결찰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eurysm of the basilar artery trunk are rare and the surgical approach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surgical anatomy around the basilar trunk and the vulnerable adjacent neurovascular structures. The development of brain CT and MRI makes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duces the improvement of surgical approaches at the lesion of the skull base. One of the surgical approaches of basilar trunk aneurysms, the retrolabyrinthine presigmoid transtentorial transpetrosal approach to the aneurysm of the basilar trunk has some advantages of minimal retraction of cerebellum and temporal lobe, intact auditory and facial nerve function by the preservation of the vestibulocochlear and facial nerves, a preservation of sigmoid sinus and vein of Labbe and a relatively good operation field. We had a good result with this approach for the patient of basilar trunk aneurysm and reported the cas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키워드